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조용필 콘서트, 다시 돌아온 가왕의 시간

대한민국 대중음악사의 산증인 조용필이 2025-26년 전국투어와 추석 특집 TV 공연을 동시에 확정했습니다. 팬들은 벌써부터 ‘예매 전쟁’을 예고하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1. 투어 개요

소속사 YPC는 “조용필&위대한탄생 전국투어 콘서트가 오는 12월 13일 부산 벡스코를 시작으로 대구·광주·서울 등 10개 도시에서 열린다”고 발표했습니다.

“팬들의 지난 사랑에 화답하는 무대가 될 것” – YPC 관계자

특히 4월로 연기됐던 대전 공연(‘20집 발매 기념’)도 새 일정에 포함돼 2026년 4월 재개최됩니다.


2. 예매 일정 & 좌석 정보

인터파크 티켓에 따르면 1차 예매는 10월 15일 오후 8시, 2차 예매는 10월 22일 동일 시간에 진행됩니다. 판매 시작 30초 만에 매진됐던 2018년 고척돔 사례를 감안하면, 멀티 디바이스 로그인·카드 정보 선등록 등 ‘예매 필살기’가 필수입니다.

좌석은 VIP·R·S·A 4등급으로 나뉘며, 가격은 9만~19만 원대입니다. 예매 수수료 1,000원 및 배송비 3,000원이 별도 부과됩니다.

조용필 콘서트 포스터이미지 출처: 인터파크 티켓


3. 추석 특집 안방 콘서트 편성

SBS ‘추석특집 임영웅 리사이틀’(10월 4일)과 더불어, KBS 대기획 ‘조용필 콘서트’가 10월 6일 저녁 7시 20분부터 140분간 방송됩니다.

방송은 ‘돌아와요 부산항에’, ‘바운스(Bounce)’, ‘바람의 노래’ 등 20곡을 풀 라이브로 담아내며, 4K UHD·5.1채널로 중계돼 현장감을 높였습니다.


4. 예상 세트리스트 & 편곡 포인트

공연 연출팀은 락·포크·트로트·EDM을 넘나드는 크로스오버 편곡과 30인조 세션을 앞세워 ‘레트로와 현대적 사운드의 조화’를 예고했습니다.

고추잠자리’는 오케스트라 버전, ‘친구여’는 어쿠스틱 재편곡으로 준비됩니다.


5. 무대·음향·특수효과

360° 회전식 메인 스테이지와 200m B무대가 설치돼 객석 전 구역 동선을 아우릅니다. 레이저 쇼·8K LED 월은 물론, 공연장 최초 ‘AI 실시간 음향 보정 시스템’이 도입돼 조용필 특유의 미성과 호흡을 또렷하게 전달합니다.


6. 관람 & 교통 팁 🚗

부산 벡스코: 지하철 2호선 센텀시티역 하차 후 도보 5분.
대구 엑스코: 셔틀버스(동대구역↔엑스코) 15분 간격 운행.
• 관람객 주차 요금은 사전 정산 시 50% 할인됩니다.


7. 굿즈 & MD 라인업

투어 한정판 LP, 포토북, ‘HELLO AGAIN’ 후드티, LED 응원봉 등 20종이 판매됩니다. 온라인 스토어는 공연 전날 오전 10시 오픈 예정입니다.

조용필 라이브 현장이미지 출처: 뉴시스


8. 현장 안전 수칙

모든 입장객은 금속 탐지가방 사전 검색을 거칩니다. 외부 음식·500㎖ 초과 음료 반입은 제한되며, 응급의료소가 1층 4번 출입구 옆에 상시 운영됩니다.


9. 지역 경제 효과

관광공사 분석에 따르면 조용필 콘서트 1회당 평균 1만 5,000명이 방문해 약 23억 원의 소비 유발 효과가 발생합니다. 숙박·식음 매출은 물론, 지역 교통·문화 콘텐츠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10. 조용필, 왜 ‘가왕’인가?

1976년 ‘돌아와요 부산항에’로 데뷔한 그는 19개 정규앨범, 누적 음반 판매 1,600만 장, 단독 콘서트 450회를 기록했습니다. ‘전 세대가 함께 부를 수 있는 가수’라는 수식어가 붙는 이유입니다.


11. 팬덤 ‘위대한탄생’의 힘

공식 팬클럽 누적 회원은 35만 명. 최근 진행된 ‘돗자리 프로젝트’(노후 공연장 의자 교체 모금)에서 2일 만에 1억 2,000만 원을 모으며 문화 선순환의 모범을 보여줬습니다.


12. 관람 전 체크리스트 ✅

  • 모바일 티켓 캡처본 준비
  • 신분증·학생증 필참
  • 무선 이어폰 사용 불가
  • 공연 30분 전 착석 권장

13. 향후 일정 & 전망

YPC는 “서울 고척돔 피날레(2026.02) 이후 해외 투어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미주 교포 사회에서도 개최 요청이 이어지고 있어, ‘한류 1세대’ 조용필의 저력이 재조명될 전망입니다.


14. 전문가 코멘트

“조용필은 세대를 초월해 ‘함께 부르는 감동’이라는 K-팝의 원형을 제시했다.” – 김형우 대중음악평론가


15. 마무리

조용필 콘서트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한국 대중음악이 걸어온 궤적을 확인하는 역사적 현장입니다. 이번 추석과 겨울, ‘가왕’의 목소리가 다시 한 번 우리의 시간을 물들일 준비를 마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