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영화계가 가을에 접어들면서 다시금 활기를 되찾고 있습니다.

국내 일별 박스오피스를 집계하는 KOFIC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추석 연휴 이후 극장 관객 수가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영화관 내부 전경

1위는 액션 누아르 ‘사마귀’가 차지했습니다. 모든 룰이 무너진 살인청부업계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은 한국 영화 특유의 서스펜스를 살려 흥행을 이끌었습니다.


헐리우드 대작에 가려졌던 토종 콘텐츠‘스토리의 힘’으로 반격에 성공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 관객뿐 아니라 드라마·웹툰 世代인 20~30대의 높은 재관람률이 눈길을 끕니다.

“줄거리가 탄탄하면 스포일러를 알아도 또 본다” – 관객 설문 조사 중에서

극장가는 기술 혁신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Dolby Atmos와 IMAX 레이저 상영관 확대가 몰입감을 극대화했습니다.

서울 강남·홍대, 부산 센텀 등 주요 상영관에서는 필름 라이브러리GV(Guest Visit) 프로그램을 병행해 영화 팬들의 체류 시간을 늘렸습니다.

씨네21 로고

온라인에서도 영화 열풍은 이어졌습니다. 인디 영화를 모아 놓은 DramaBox 앱은 출시 6개월 만에 누적 다운로드 50만 건을 돌파했습니다.

OTT 플랫폼의 저변 확대는 극장·스트리밍 간 ‘윈윈’ 구조를 만들고 있습니다. 관객은 먼저 OTT로 작품을 맛보고, 만족도가 높으면 극장으로 발걸음을 옮깁니다.


교육 현장도 주목할 만합니다.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콘텐츠 크리에이터 전공을 신설하고, 영화 제작 실습을 강화했습니다.

전문가들은 “Z세대가 스마트폰 하나로 영상을 제작·편집하는 시대”라며 “차세대 인재 양성이 산업의 지속 성장 열쇠”라고 분석했습니다.

오는 10월 부산국제영화제(BIFF)에서는 세계 70개국 250편이 상영됩니다. 업계는 BIFF에서 발굴된 화제작이 겨울 성수기까지 흥행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관람 팁도 챙기면 좋습니다. HD아트센터와 씨네Q 등 예매 사이트는 상영 20분 전까지 무료 취소를 지원하고, 새벽 할인·조조 패키지를 운영합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영화 산업이 경기 변동을 뛰어넘는 문화 생태계로 진화 중”이라며 “관객 참여형 마케팅과 스토리 다변화가 관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올 가을, 극장과 OTT에서 놓치면 아쉬울 영화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