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 그 이후, 행정정보시스템 복구 현황 총정리

취재‧정리 = 라이브이슈KR 이현수 기자 | 2025.09.29. 14:00


지난 26일 밤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는 전자정부 운영 역사상 가장 큰 시험대였습니다. 행정정보시스템 화재로 불리는 이번 사건은 정부24·우체국 금융·나라장터 등 143개 공공 서비스의 가동을 멈춰 세웠습니다.

29일 오전 8시 30분 기준, 행정안전부는 “47개 시스템을 1차 복구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96개 서비스가 대구센터로 이전 절차를 밟으며 ‘정상화 대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행정정보시스템 화재는 일부 설비가 아닌, 핵심 UPS 배터리에서 시작돼 피해 규모가 컸다” –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관계자

불씨는 무정전 전원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 이동 과정에서 튄 스파크로 추정됩니다. 내부 서버실로 번진 화염은 22시간 만에 진화됐지만, 주요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스위치가 녹아내리며 전산망이 순식간에 마비됐습니다.

특히 민원 HUB 역할을 하는 정부24는 토지·임야대장, 주민등록등본 등 핵심 증명서 발급이 중단됐습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 오프라인 민원실은 평소 대비 방문객이 3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금융권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우체국 예금·보험 창 sal 은 27일 하루 평균 대기 시간이 40분 이상 길어졌습니다. 다만, 스마트뱅킹 애플리케이션은 28일부터 순차 복구돼 계좌조회간편이체 기능만 우선 재가동했습니다.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현장

▲ 26일 밤 화염에 휩싸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내부 (사진=뉴스1)

전문가들은 “이번 행정정보시스템 화재를 계기로 이중화 설계디지털 백업센터 분산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실제로 강원일보 사설은 ‘전자정부 근간 재설계’를 요구하며 5대 개선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행안부는 단기 대책으로 ① 클라우드 기반 예비센터 구축 ② UPS 리튬이온 배터리 전수 점검 ③ 주중 24시간 모니터링 체계 확대를 약속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2027년까지 3권역 분산 IDC를 완성한다는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서비스 중단 안내 배너

▲ 과수생육품질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 올라온 서비스 중단 공지 (이미지=농촌진흥청)

시민들은 “대체 발급 방법을 더 명확히 안내해 달라”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행안부는 ① 주민센터 방문 발급연계 정보시스템(민원24 잔류 모듈)콜센터 FAX 민원 등 3가지 임시 경로를 공지했습니다.

보건의료 쪽은 비교적 신속히 정상화됐습니다. 복지부는 “보건의료빅데이터 시스템과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은 28일 23시부로 완전 복구됐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강남구 보건소는 감염병 신고를 수기 팩스로 대체하라는 긴급 공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IT 업계는 ‘클라우드 액티브-액티브’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를 도입하면 특정 센터 화재에도 5초 내 자동 전환이 가능합니다.

이어지는 피해 복구 속에서도 피싱·스미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행안부는 “우체국 택배·정부24 복구 지원을 사칭한 문자 링크를 누르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금융감독원도 전용 신고창구(☎1332)를 24시간 운영 중입니다.

정부24·우체국 등 주요 사이트 정상화 일정10월 5일까지 2단계로 이뤄집니다. 1단계는 기본 민원 발급, 2단계는 API·연계 서비스 복원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행정정보시스템 화재의 교훈을 살려야 한다”며, 정책·기술·예산 삼박자를 꼼꼼히 점검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국민 입장에서는 오프라인 민원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방문 예약신분증 지참을 권장드립니다. 😊


ⓒ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표 이미지 출처 :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