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김세의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 대표가 최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추진하는 ‘인터넷·플랫폼 상 사이버 레커 대책’ 공청회 증인으로 채택되면서 다시 한 번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


전직 MBC 기자였던 그는 2019년 유튜브 채널 가세연을 공동 설립해 보수 성향 시사 콘텐츠를 꾸준히 제작했습니다. 채널은 빠른 이슈 대응으로 구독자를 끌어모았지만, 동시에 명예훼손 소송과 광고 수익 박탈 등 크고 작은 법적 갈등을 겪었습니다.


특히 2025년 10월, 배우 김수현·고(故) 김새론 관련 의혹 제기가 거센 후폭풍을 낳았습니다. 김수현 측은 “카카오톡·음성 녹음 모두 조작됐다”라며 법적 대응을 선언했고, 김세의 측은 “원본 자료를 곧 공개할 것”이라고 맞섰습니다. 🤔

가세연 스튜디오
사진 출처: Unsplash


이 과정에서 ‘사이버 레커’라는 단어가 다시 부각됐습니다. 사이버 레커*란 조회수를 위해 자극적·선정적 내용을 무분별하게 유통하는 1인 미디어를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용어집


국회는 플랫폼 사업자와 크리에이터의 책임 구조를 명확히 하겠다며 “허위·조작 정보 게시 시 손해배상 3배”가 골자인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예고했습니다. 증인으로 지목된 김세의·은현장·쯔양 등은 각자 다른 입장문을 내고 있습니다.

“영상 삭제 요청이 들어와도 유튜브가 늦게 움직인다. 제재 기준을 투명화해야 한다.” — 김세의, 2025.10.25 기자간담회 中


그러나 수익 구조를 둘러싼 의문도 제기됩니다. 미디어오늘 보도에 따르면, “은현장이 김세의 임금을 ‘0원’으로 만들었다”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는 가세연 내부 수익 배분 갈등이 법정 공방으로 번질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국회 청문회
사진 출처: Unsplash

여기에 플랫폼 책임론이 더해지며, 업계는 ‘실시간 제재 알고리즘’ 강화와 크리에이터 실명제 도입 논의를 본격화했습니다. 플랫폼 기업들은 “표현의 자유 위축”을 우려하지만, 피해자 보호 요구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법조계는 “이미 가세연 관련 민·형사 소송이 20건 이상”이라며, 이번 국회 출석이 선례로 남을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전문가들은 ‘허위정보 입증 책임’을 콘텐츠 제공자에게 우선 부과할지, 플랫폼에게 공동책임을 물을지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유튜브 로고
사진 출처: Unsplash

실제 유튜브는 2024년 ‘가짜 뉴스 3회 적발 시 영구 정지’ 정책을 발표했지만, 국내 채널 차단 사례는 손에 꼽힙니다. 이는 알고리즘 투명성에 대한 공통된 불신을 보여줍니다.


김세의는 SNS를 통해 “국회에서 사실을 명확히 밝히겠다”고 강조했으나, 일부 네티즌은 ‘정치적 퍼포먼스’라고 비판합니다. 📢

반면 지지자들은 “주류 언론이 다루지 않는 의혹을 짚는다”며 그의 행보를 옹호합니다. 결국 팩트 체크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 한, 논쟁은 반복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강화된 정보 검증’‘신속한 정정 보도’가 동시 추진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동시에 이용자 스스로도 출처 확인에 적극 나서야 합니다. 🕵️‍♂️


국회 청문회 일정은 이르면 11월 둘째 주로 예상되며, 증인선서·자료제출 요구가 병행될 예정입니다. 김세의가 어떤 증거를 제시할지, 또 어떠한 법·제도 개선안이 도출될지 주목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안은 단순히 한 유튜버의 논란을 넘어 디지털 시대 언론 생태계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공청회 결과와 법안 심의 과정을 계속 추적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