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대전 화재가 26일 밤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본원 전산동에서 발생했습니다. 오후 8시 15분쯤 리튬배터리가 폭발하며 불꽃이 번졌고, 곧바로 정부24·국민신문고·모바일신분증 등 70여 개 정부 시스템이 멈췄습니다. 🔥


소방당국은 대전 화재 발생 직후 대응 1단계를 발령했습니다. 약 110명의 소방 인력과 37대의 장비가 투입돼 1시간 40분 만에 큰 불길은 잡혔습니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
▲사진 출처 : KBS 뉴스

이번 대전 화재의 진원지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실이었습니다. UPS는 정전 시 서버 가동을 유지하는 장치로, 고온·고전류가 흐르는 리튬배터리가 집중돼 있습니다.

소방 관계자 “초기 폭발음 이후 검은 연기가 전산동 전체로 퍼졌다”

관리원 관계자는 “화재감지 시스템은 작동했지만 배터리 폭주가 너무 빨랐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기 진압 지연이 서비스 중단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전산망 장애는 전국 민원 처리에 직격탄을 안겼습니다. 주민등록등본 발급, 전자고지, 온라인 여권 예약 등 편의서비스가 모두 먹통이었습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정부24를 통해 귀성 열차 할인·도로 통행료 조회를 하던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습니다. 한 시민은 “전체 업무가 멈춰 창구로 찾아가야 했다”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즉시 복구반을 구성했습니다. 대전 화재 발생 3시간 만에 우선 순위 서비스를 타 센터로 백업 전환했고, 27일 새벽 2시 30분 기준 60%를 복구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 화재는 IT 재난사회 재난을 동시에 불러온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대전 화재와 같은 배터리 폭주를 막기 위해 ▲리튬 배터리 실 온도·습도 상시 모니터링 ▲가스 소화설비 확대 ▲서버실 분리 격벽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이번 사고는 2021년 과천 KT IDC 화재 이후 최대 규모의 공공전산 장애로 기록됐습니다. 당시에도 UPS가 문제였으며, 전문가들은 “리튬인산철 배터리 등 대체 기술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市 관계자는 “화마가 초래한 정보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야간 복구 인력을 2배 증원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시민이 할 일은 무엇일까요?
① 온라인 민원이 불가할 경우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
② 긴급 증명서는 무인 발급기를 활용
③ 정부24 복구 현황은 행정안전부 SNS 확인 🕒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대전 화재 현장 직원 2명이 연기를 흡입해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행안부는 “화재 원인으로 추정되는 배터리를 국과수와 합동 감식해 근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전 화재는 데이터센터 안전 문제가 곧 ‘디지털 행정의 생명선’임을 보여줍니다. 정부는 전국 4개 거점 센터 간 실시간 이중화 체계를 다시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들은 “공공·민간 구분 없이 사이버·물리 재해를 통합 관리해야 한다”면서, 국가 사이버안전본부(가칭) 신설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라이브이슈KR는 대전 화재 진행 상황과 정부24 복구율을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추가 피해가 확인될 경우 신속히 보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