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전통시장의 미래를 열다 🛍️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소상공인의 매출을 높이기 위해 정부·한국조폐공사·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협력해 발행하는 모바일 기반 지역 유통 수단입니다.

지류(종이) 상품권이 지닌 단점을 보완하고, QR결제·간편충전·잔액관리 같은 모바일 금융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와 상인 모두에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10% 환급 행사 포스터

출처: 온누리상품권 공식 홈페이지

올해 9월 30일까지 진행되는 ‘10% 환급 행사’는 매월 20회차로 나뉘어 상품권 충전액의 10%를 즉시 캐시백 형태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덕분에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는 입소문이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8일 열린 ‘온누리상품권 제도 개선 회의’에서 부정유통 차단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위·변조 방지 기술과 AI 기반 거래 모니터링을 도입해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입니다.

전통시장 매출 증대와 소비자 편익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한성숙 중기부 장관

이번 개선안은 ① 구매 한도 상향 ② 가맹점 수수료 인하 ③ 간편 앱 연동으로 요약됩니다. 특히 자체 간편결제 앱이 불편하다는 소비자 의견을 반영해 K-페이·토스·카카오페이 등 민간 플랫폼과 연동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온누리상품권 제도 개선 회의

출처: 전라일보

현재 온누리굿데이, 꿈바우 야시장 등 온라인·오프라인 가맹점 41만 곳이 디지털 온누리 인프라를 갖췄습니다. 소득공제율은 일반 가맹점 30%, 전통시장 40%로 차등 적용돼 절세 효과도 큽니다.

소비자들은 ‘디지털 온누리’ 앱을 통해 ① 계좌 연결 ② 충전 ③ QR 또는 바코드 결제 순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충전 수수료 0%이므로 실질 할인 폭은 더욱 커집니다.

정부는 상생페이백과 결합한 추가 캐시백 이벤트도 9월 한 달간 운영 중입니다. 5만 원 이상 누적 충전 시 자동 응모돼, 추첨을 통해 최대 5만 원 상당 상품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생페이백 안내 카드뉴스

출처: 정책브리핑


📱 사용 가이드 – 3분 만에 끝내는 설치·결제

  1.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에서 ‘디지털 온누리’ 검색 후 설치
  2. 휴대폰 본인인증 > 은행 계좌 또는 체크카드 등록
  3. 월 70만 원 한도 내 충전 후 QR·바코드 결제
  4. 결제 내역은 실시간 알림으로 즉시 확인
  5. 연말정산 시 자동 소득공제 적용

실제 사용자 A씨는 “알뜰 소비를 위해 매달 충전하고, 10% 환급 덕분에 생활비가 줄었다”고 전했습니다. 반면 일부 이용자는 “전용 앱이 무거워서 민간 간편결제 연동을 기대한다”는 의견도 제시했습니다.

상인 B씨는 “카드 수수료보다 낮아 순이익 개선 효과가 크다”며 “청년층 유입이 늘어 시장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NFC·블루투스 결제, 비밀번호 없는 생체인증을 도입해 결제 속도를 0.5초까지 단축할 예정입니다. 또한 2026년 바이오헬스 예산과 연계해 헬스케어 마켓까지 확장 가능성을 검토 중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 Q. 환불은 가능한가요?
    충전 후 7일 이내 전액 환불 가능, 사용 후 잔액은 불가
  • Q. 가족 계정 공유가 되나요?
    → 1인 1계좌 원칙이나, 가족 한도 통합 기능을 검토 중
  • Q. 온라인 마켓에서도 결제되나요?
    → 온누리굿데이·우체국쇼핑 등 전용몰에서 사용 가능
  • Q. 법인카드로 충전이 되나요?
    현재 불가, 하반기 시범 운영 예정

중기부 관계자는 “2025년까지 누적 발행액 5조 원을 목표로, 가맹점 60만 곳·이용자 1,000만 명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습니다.

소비자가혜택·상인매출·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견인하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더 똑똑한 소비를 원한다면 지금 바로 충전 버튼을 눌러보는 것은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