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롬바드 코인 상장 임박…투자자 관심 집중
국내 양대 거래소인 업비트와 코인원이 ‘롬바드 코인(BARD)’의 원화(KRW)·비트코인(BTC)·테더(USDT) 마켓 상장을 예고했습니다. 업비트는 입출금 지원을 이미 개시했고, 거래 지원 시점은 추후 공지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 롬바드 코인(BARD)란 무엇인가?
롬바드 코인은 Lombard Finance가 발행하는 이더리움(ERC-20) 기반 토큰입니다. 플랫폼 핵심은 비트코인 보유자에게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 ‘LBTC’를 발행해 디파이(DeFi)에 참여하도록 돕는 구조입니다.
“1비트코인을 팔지 않고도 수익형 디파이 프로토콜까지 접근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별점입니다.
🌐 LBTC 메커니즘과 주요 파트너십
BARD 생태계의 심장인 LBTC는 체인링크(Chainlink)∙심바이오틱(Symbiotic)과의 협업을 통해 크로스체인 보안 레이어를 구현했습니다. 이 덕분에 비트코인은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아닌 온체인 디파이에서도 활용 범위를 넓히게 됩니다.
KODA(코리아디지털에셋)와의 전략적 제휴 또한 눈길을 끕니다. 기관 투자자는 수탁·컴플라이언스 장벽을 해소한 채로 비트코인 수익 상품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상장·입출금 주요 일정
- 업비트: 입금 지원 9월 18일 오후 6시경 시작 → 거래지원 일정 추후 공지
- 코인원: 9월 19일 11:00 원화 마켓 오픈(출금 동일 시각)
두 거래소 모두 이더리움 네트워크만 지원하므로, 타 체인 전송 시 자산 손실 위험에 유의해야 합니다.
💰 토크노믹스 한눈에 보기
총 발행량은 10억 BARD이며, 초기 유통량은 약 6%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동성 확보를 위해 마켓메이커 DWF Labs가 일부 지분을 보유했고, 커뮤니티 리워드·개발자 인센티브·기관 유동성 풀에 순차적으로 배분됩니다.
특히 롬바드 파이낸스는 스마트 컨트랙트 차원에서 6개월 단위 언락(Unlock) 정책을 도입, 덤핑 위험을 최소화했습니다.
📈 가격 전망 & 관련 지표
글로벌 지표 사이트 코인마켓캡은 “레퍼런스 가격이 등록되는 즉시 등락률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LBTC 스테이킹 APR(연수익률) 4~7%가 유지될 경우, BARD 가격 지지선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한편, BTC 가격과 이더리움 가스비 변동성이 BARD 수익 모델에 미치는 영향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 규제·보안 체크포인트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세부 시행령을 예고했으며, 리퀴드 스테이킹 상품의 증권성 여부를 판단 중입니다. 롬바드 측은 “KYC·AML 솔루션을 이미 도입해 리스크를 최소화했다”는 입장입니다.
📌 투자자 체크리스트
- 네트워크 – ERC-20 여부 재확인
- 언락 일정 – 팀·VC 물량 공개 스케줄 점검
- 스테이킹 – LBTC 예치 수익률 변동성 모니터링
- 가스비 – 이더리움 수수료 상승 국면 대비 전략 마련
🌟 결론: 롬바드 코인이 열어갈 ‘비트코인 디파이’ 시대
롬바드 코인(BARD)은 비트코인 기반 디파이 확장이라는 뚜렷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등장했습니다. 국내 상장 후 초기 변동성은 불가피하겠지만, 기관 파트너십·보안 레이어·토크노믹스 세 요소가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면 장기 성장 가능성도 충분하다는 평가입니다.
투자 전, 상장 공지·스마트 컨트랙트 주소·언락 일정을 반드시 확인하시길 권합니다. 향후 LBTC 생태계 확장 속도가 ‘롬바드 코인’의 가치를 좌우할 핵심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