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tcu_.or_.krhumanframethememoassetsimagescommonicon_foot_mark4.png

🌏 희토류는 전 세계 첨단산업의 ‘비타민’으로 불립니다. 전기차·풍력발전·반도체·국방 장비까지, 거의 모든 미래 기술이 이 17개 원소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희토류 공급 불안은 언제나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 요소였습니다. 중국이 약 70% 이상의 정제시설을 장악하고 있어, 수출 통제 여부가 시장 가격을 좌우합니다.

희토류 원광 생산 현장
▲ 사진 출처 : YTN 화면 갈무리

📌 그런데 27일 새벽 미국·중국 고위급 경제팀이 ‘100% 추가 관세 및 희토류 수출 통제’1년간 동결하기로 잠정 합의했습니다.

“희토류 수출 통제를 재검토하기로 했으며, 미국도 대중(對中) 추가 관세를 유예한다.”1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


⚙️ 이번 합의는 APEC 정상회의를 앞둔 전격적인 ‘관세 휴전’으로, 희토류 가격 급등세가 일시 진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장기 공급망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안정’보다 ‘공급 다변화’가 핵심 과제로 부상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포스코홀딩스·삼성SDI 등 2차전지 업체는 호주·베트남·캐나다 광산과의 장기 계약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 호주 Mt. Weld, 베트남 Dong Pao비(非)중국 생산 기지가 다시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브라질 희토류 협력
▲ 사진 출처 : 더구루(the Guru)

러시아 국영 로사톰은 브라질과 손잡고 2100만 톤 매장량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미·중 외의 제3축이 부상한다는 뜻입니다.


한편 국내 정부도 ‘희토류 재활용 R&D’ 예산을 내년 4,200억 원으로 확대했습니다. 사용 후 자석·배터리에서 드라마틱하게 금속을 회수하는 용융염 공정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습니다.

📈 가격 동향을 보면, 네오디뮴 산화물은 지난달 톤당 72,000달러에서 이번 합의 보도 후 67,500달러로 6%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단기 조정일 뿐, 수요는 구조적으로 증가”라고 입을 모읍니다.

“탄소중립 시대에 희토류 대체재는 아직 없습니다. 공급망 분산과 재활용 기술만이 해답입니다.”2

투자자라면 △비중국 광산 지분 △재활용 스타트업 △고순도 분리 정제 장비 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국내 상장사 A사·B사는 정부 과제 수혜 기대주로 꼽힙니다.


정리하면, 미·중 관세 휴전은 단기 호재지만, ‘희토류 공급망 재편’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멈추지는 못합니다. 한국 기업과 정부는 장기 전략을 통해 기술·자원·안보의 삼각 퍼즐을 완성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