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성균관대학교 최신 학사·연구·대학 소식 총정리

교직과정 선발 안내, fMRI 연구 참여 모집, SKK GSB AI 포럼,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연구 성과 등 핵심 정보를 한눈에 전합니다.

성균관대학교 메인 심볼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www.skku.edu)

성균관대학교(SKKU)는 인문·사회와 AI·데이터를 아우르는 융합 생태계를 확장하며, 학사·연구·산학 협력을 연계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본지는 대학 공지·단과대 소식을 기반으로 2025~2026년 학업 계획과 진로 탐색에 유용한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학사 공지 핵심으로는 2026학년도 학사과정 교직과정 이수 예정자 선발 및 신청 안내가 공지되었습니다.

해당 안내는 신청 마감 11월 14일로 표기되어 있어, 관련 요건과 제출 서류를 반드시 확인하길 권합니다.

연구 참여 정보로는 뇌 영상 fMRI 연구 참여자 모집 공지가 게시되어 학부·대학원생의 연구 경험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참여 조건과 보상, 방문 일정 등은 성균관대학교 공지사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학사·연구·경력개발 정보를 공지사항에서 한 번에 확인하는 것이 지원 전략의 시작입니다.”


문과·사회과학·경영 분야는 성균관대학교 특유의 학제 간 연계를 바탕으로 심화 학습과 실무 역량을 결합하고 있습니다.

문과대학은 국어국문·영어영문·프랑스어문·중어중문·독어독문·러시아문학·한문학·사학·철학·문헌정보학 등 전통과 현대 인문학의 저변을 견고히 하고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liberalarts.skku.edu)

경영대학은 글로벌 케이스 학습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교육을 강화하며, 경영관 시설 및 학과 안내를 통해 실습 친화적 환경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입학생과 편입생은 커리큘럼 맵·교과목 로드맵을 참고하여 전공 심화와 복수전공·융합전공을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biz.skku.edu)

경제대학은 경제학·통계학·글로벌경제학 등 데이터 기반 정책·금융·산업 분석 역량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량 분석프로그래밍 스킬을 결합한 커리큘럼이 정시·수시 합격생의 진로 설계에 실질적 도움을 제공합니다.

심리학과PSYCHOLOGY DAY 등 학술·교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며, 학부·대학원생의 연구 발표와 네트워킹 무대를 꾸준히 마련하고 있습니다.

실험심리·인지과학·임상·산업및조직 분야의 스펙트럼이 넓어 학제 간 공동 프로젝트 참여 기회가 풍부합니다.


소프트웨어융합대학AI·SW 융합을 선도하며 연구 성과와 산학 연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SCI/SCI(E)급 논문 214건연구비 수주 273.6억 현황을 공개해 연구 저력과 프로젝트 기반 교육의 강점을 보여줍니다.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연구와 교육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sw.skku.edu)

지능형소프트웨어학과·소프트웨어학과·글로벌융합학부 등은 캡스톤·산학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데이터·서비스 설계 경험을 체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스타트업 협력, 인턴십, 오픈소스 기여 활동이 학부 연구생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점도 특징입니다.


SKK GSB(경영대학원 MBA)는 글로벌 비즈니스 현안을 주제로 패널 및 네트워킹 행사를 운영하며 산업 현장과 교육을 긴밀히 잇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화두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AI & Business Futures: Global Lessons, Korean Opportunities

글로벌 레슨을 국내 기회로 연결하는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성균관대학교 SKK GSB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SKK GSB(gsb.skku.edu)

스포츠과학대학은 스포츠과학·운동생리·코칭·스포츠데이터 등 현장과 학문을 잇는 교과를 제공하며, 비교과 활동과 강의 연계가 촘촘합니다.

선수 경력자뿐 아니라 헬스케어·피트니스·스포츠테크 진출을 모색하는 학생에게 실천적 커리큘럼을 제시합니다.

사회복지학과는 푸르메재단 기관 견학 등 현장 기반 교육과 정신건강 분야의 근거기반 실천을 주제로 한 학부·대학원 세미나를 통해 실천지향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협력, 복지행정, 연구방법론 교육이 결합되어 공공·민간 영역 진출을 지원합니다.


입학·전공 설계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 신입생은 공지사항과 각 단과대 홈페이지의 학사·전공 안내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교직과정·복수전공·융합전공은 신청 시기와 요건이 상이하므로, 공지 게시판의 마감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캠퍼스 생활은 전공 수업과 더불어 연구 참여(예: fMRI 연구), 학술제·데이(예: Psychology Day), 산학 프로젝트(예: SW 캡스톤)로 확장됩니다.

이력서·포트폴리오 강화에는 교내 멘토링·경력개발 프로그램과 산학 네트워킹을 병행하는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마지막으로, 성균관대학교인문사회과학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교육·연구로 학내·외 협력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학사 일정과 연구·행사 공지, 전공별 로드맵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 보다 촘촘한 학업·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취재·구성: 라이브이슈KR 기자 ✍️ | 참고: 성균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및 단과대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