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신안 해상 ‘퀸제누비아2호’ 좌초267명 탑승 확인, 해경 구조 총력원인·안전 점검 총정리

목포–제주 항로 대형 카페리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가 전남 신안군 해역에서 좌초했습니다. 관계기관이 가용 전력을 투입해 구조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신안 해상 퀸제누비아2호 좌초 관련 현장 사진
사진 출처: 중앙일보(joongang.co.kr)

1) 사건 개요와 현재 상황

19일 20시17분, 전남 신안군 장산면 족도 인근 해상에서 ‘퀸제누비아2호’가 좌초했다는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승객 246명과 승무원 21명 등 총 267명이 탑승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해양경찰은 함정·연안구조정 등을 투입해 구조에 총력을 다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규모 인명피해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취지의 초기 상황이 전해졌습니다.

2) 정부·관계기관의 대응

“가용 가능한 모든 선박과 장비를 즉시 투입해 승객 전원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것… 사고 해역의 기상·해상 상태를 면밀히 점검해 2차 사고를 철저히 방지할 것.”

— 국무총리실 공지 취지(대한민국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공식 X 계정 요지)

대통령실도 구조 현황의 투명한 공개신속 대응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자체는 임시대피·의료 지원 체계를 가동하며 사후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퀸제누비아2호 승객들 구명조끼 착용
사진 출처: 뉴스1(news1.kr)

3) 선박 제원과 항로 특성

퀸제누비아2호는 목포–제주 구간에 투입된 대형 카페리 여객선입니다. 보도에 따르면 2021년 12월 취역했으며, 최대 여객 정원 약 1,010명 수준으로 소개됩니다.

총톤수는 매체별로 약 26,546~27,391톤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차량·화물을 함께 적재하는 RO-PAX(카페리)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목포-제주 항로 퀸제누비아2호 승선 장면(자료)
사진 출처: 뉴시스(newsis.com) /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4) 좌초 지점의 해역 환경

신안 해역은 섬과 암반, 갯벌 지형이 복잡수심 변화조류를 정확히 읽는 것이 중요합니다. 야간 항해 시 시계, 조류, 간조·만조 시간대는 안전 운항의 핵심 변수입니다.

이번 여객선 좌초 역시 항로 이탈·수심 오판·기상 급변 등 다양한 가능성이 검토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향후 공식 조사 결과로 확인됩니다.

5) 구조 절차와 승객 대피 요령

해경은 승객 안전 확보를 최우선으로, 안정적 상태 확인 후 구명조끼 착용·질서 있는 하선을 유도합니다. 구조선 접근 시 지휘 방송에만 반응하고 임의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비상시에는 구명조끼 확실히 고정하고, 휴대전화 플래시호루라기비치 시로 위치를 알립니다. 해양 긴급전화 122로 신고하면 가장 빠른 접수가 가능합니다.

해경 구조세력 퀸제누비아2호 접근
사진 출처: 네이트뉴스(원출처 국민일보) / nate.com

6) 초기 진술과 현장 관측의 의미

일부 승객은 “선수가 섬에 올라탔다”는 취지의 상황을 전한 것으로 보도됐습니다. 이는 선체 일부가 지형물과 접촉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다만 선체 손상·침수·기울기 각도 등은 공식 점검을 통해 확정됩니다. 구조 단계에서 2차 사고 방지를 위해 기관 정지·전원 관리·연료 계통 확인이 병행됩니다.

7) 원인 조사 포인트(예상)

전문가들은 전자해도(ECDIS) 알람 이력, 항해일지VDR(항해기록장치) 데이터, 조타·기관·통신 로그를 종합 분석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또한 기상자료(풍속·시정·조석)수로 정보 최신성, 항로 계획서 이행 여부 등도 조사 대상이 됩니다.

8) 퀸제누비아2호 운항과 안전 관리

보도에 따르면 ‘퀸제누비아2호’는 목포–제주 구간에 최근 투입되며 안전 기준을 강화한 최신형 설계를 적용했다는 설명이 전해졌습니다. 최대 여객 1,010명 규모의 카페리 특성상 다중이용선박 안전 프로토콜 준수가 핵심입니다.

이번 좌초를 계기로 야간 항로 표지관제 레이더·AIS 모니터링 협업 강화 등 제도 개선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9) 승객·가족을 위한 체크리스트

가족은 해경·지자체 공식 안내 외 채널을 경계하고, 확인된 연락망을 통해 정보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측성 정보 공유는 혼선을 키울 수 있습니다.

승객은 구조선 탑승 후 저체온증 예방을 위해 보온에 신경쓰고, 필요시 의료진 상담을 받습니다. 수분 보충과 심리안정 조치도 필수입니다.

10) 항공·해상 연계 수송과 대체 이동

이번 여객선 좌초로 목포–제주 일부 운항 일정 조정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체편·환불·변경은 각 선사 공지와 터미널 안내를 통해 확인하면 됩니다.

기상 악화 시에는 출항 통제가 이뤄질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여유 있는 이동 계획이 필요합니다.

11) 안전 문화와 재발 방지 과제

대형 여객선의 안전은 항해계통 신뢰성승무원 상황 인식, 승객 비상교육이 결합되어 완성됩니다. 정기 훈련과 야간·악천후 대응 시뮬레이션은 실효성을 좌우합니다.

정부·지자체·선사가 통합 상황판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AIS·레이다·수로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교차검증하는 체계를 확립해야 합니다.

12) 현 시점에서 독자가 알아야 할 핵심

첫째, ‘퀸제누비아2호’는 신안 해상에서 좌초했고 267명 탑승이 확인되었습니다. 둘째, 해경과 관계기관이 구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셋째, 원인은 조사 중이며, 공식 발표 이전까지는 추정 정보를 경계해야 합니다. 넷째, 승객 안전 요령과 가족 대응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Q&A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Q. 인명 피해는? — 보도 시점 기준 대규모 인명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최종 집계는 공식 발표를 통해 확인됩니다.

Q. 왜 좌초했나?항로 이탈·수심 인지·기상 등 복합 변수가 검토 대상입니다. VDR·ECDIS 데이터 분석이 관건입니다.

Q. 승객은 무엇을 해야 하나?지휘 방송에 따라 질서 정연하게 이동하고, 구명조끼를 정확히 착용한 뒤 불필요한 이동을 자제합니다.

신안 해역 구조 현장 이미지(자료)
사진 출처: 전남뉴스피플(scpress.co.kr)

맺음말

퀸제누비아2호 좌초다중이용 해상 교통의 안전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사건입니다. 구조가 마무리되는 대로 정밀 조사와 제도 개선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본지는 공식 발표현장 취재를 통해 정확한 후속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 안전한 구조와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뉴스1, 뉴시스, 전남뉴스피플

취재·구성: 라이브이슈KR 기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