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애플페이(Apple Pay)가 다시 한 번 국내 핀테크 시장의 중심에 섰습니다. 지난해 현대카드 단독 도입으로 막을 올린 후, 올해는 신한카드·KB국민카드까지 진입을 알리면서 경쟁 구도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습니다.


① 시장 확대 배경입니다. 금융위원회가 2023년 말 NFC 간편결제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밝힌 뒤, 국내 가맹점 단말기의 69%가량이 펌웨어 업데이트를 완료했습니다. 덕분에 아이폰·애플워치를 통한 터치 결제가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까지 전국 편의점·프랜차이즈 95% 이상이 애플페이를 지원할 것입니다.” — 카드업계 관계자

수수료 논쟁도 여전합니다. 애플은 0.1~0.15% 수준의 시스템 사용료를 요구해 왔으며, 이는 삼성페이·네이버페이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카드사들은 “브랜드 가치와 프리미엄 고객 유입 효과가 더 크다”고 판단했습니다.


티머니 애플페이 연동이 가장 큰 화제입니다. 지난 6월 서울교통공사는 모든 역 개찰구에 OTA 펌웨어를 배포했고, 7월 15일부터 아이폰 탭 한 번으로 정기권·잔액 승차가 가능해졌습니다. 교통카드 기능 확보는 이용 빈도를 평균 3.2배 끌어올렸습니다.

Apple Pay 결제 이미지
이미지 출처: Pixabay

신한카드 애플페이는 8월 30일 시범 오픈합니다. 신한카드 앱에서 월렛 자동 등록 기능을 지원하고, 마이데이터 기반 소비 데이터 분석 리포트를 함께 제공합니다.

⑤ 이어 KB국민카드는 10월 대형 쇼핑몰·면세점 제휴 캐시백 프로모션을 예고했습니다. ‘KB Pay ↔ Apple Pay 더블 적립’ 캠페인이 대표적입니다.


NFC 단말기 보급률이 문제였습니다. 중소 가맹점의 교체 비용을 낮추기 위해 중기부·카드사·애플코리아가 ‘1+1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2024년 말까지 50만 대 보급을 목표로 합니다.

⑦ 해외 결제 편의성도 강화됐습니다. 비자(Visa) 토큰화 업그레이드로 인해 한국에서 등록한 카드라도 미국·유럽·일본에서 오프라인 교통·편의점 결제가 원활해졌습니다.

보안 측면에서 애플은 Secure Enclave 기반 생체 인증과 단일 기기 토큰 방식을 고수합니다. 금융보안원은 “트랜잭션 위조 발생률이 기존 마그네틱 대비 1/500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⑨ 사용자 경험(UX)도 바뀝니다. 워치 결제 비중23%→31%로 확대됐고, iOS 18탭 투 캐시 기능은 P2P 송금을 NFC로 가능하게 했습니다.


⑩ 반면 경쟁 서비스인 삼성페이는 MST 강점을 앞세워 현금영수증 자동 발급·해외 ATM 출금 기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는 “2025년 국내 간편결제 점유율이 삼성 52%, 애플 23%, 네이버·카카오 등이 25%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BC카드·롯데카드 등 다른 카드사 역시 도입 검토 중입니다. 다만 BC카드는 공동망 수수료 인하를 전제로 협상을 진행 중이며, 롯데카드는 백화점·마트 연계 프로모션을 선행 준비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스타트업들도 움직입니다. 간편결제 API 기업들은 애플월렛 연동 SDK를 출시했고, 온·오프라인 BNPL(선구매 후지불) 서비스에서도 Apple Pay 파트너십을 타진 중입니다.

NFC 단말기로 결제 중인 모습
이미지 출처: Pixabay

⑬ 학계에서는 ‘애플페이 효과’를 통해 비현금 사회 진입 속도가 18개월 앞당겨질 것이라 분석합니다. 또한 데이터 기반 맞춤 금융 시장 규모도 연 16%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⑭ 소비자 유의 사항도 있습니다. 카드 분실 시 즉시 나의 찾기 앱으로 원격 비활성화를 해야 하며, 국내·해외 가맹점별 환율·수수료 정책을 확인해야 합니다. 정기결제 카드 변경 시 구독 서비스 이중 결제를 방지하기 위해 알림 설정이 필수입니다.

⑮ 결국 애플페이‘프리미엄 경험’과 ‘생태계 잠금 효과’를 무기로 국내 간편결제 시장의 경쟁 구도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2025년 본격화될 멀티 카드사 시대가 이용자 혜택을 얼마나 확장시킬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