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unsplash.comphoto-1502082553048-f009c37129b9autoformatfitcropw1350q80

🚢 지난 9월 18일 화려하게 취항했던 서울시 ‘한강버스’가 열흘 만에 멈춰 섰습니다.


시범 운항 종료 첫날, 빈 선박은 여의도 선착장에 접안하지 못한 채 한강 한가운데에 떠 있었습니다.1)

“출근길 수상통근이라는 새로운 일상, 아직 속도를 내기엔 준비가 부족했다.” — 서울시 관계자

이번 중단은 운항 안전성, 승객 수요, 재정 효율성 등 복합 요인이 맞물렸다는 분석입니다.


여의도 한강버스

▲ 이미지 출처: 시사IN

서울시는 전동식 친환경 수상버스 3척을 투입해 여의도–마곡 구간 출·퇴근 노선을 운영했습니다.

그러나 평균 승선 인원은 20명 미만에 그쳤습니다. 예약률도 30% 안팎이었습니다.

운항 거리 14㎞, 편도 40분이란 시간표가 출근 정시성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강·바람·수위 등 자연 변수로 통행 시간 변동폭이 컸습니다.2)


전문가들은 대중교통 연계성 부족을 가장 큰 문제로 지목합니다.

버스·지하철과 달리 선착장 접근성이 낮아 ‘문 앞↔문 앞’ 이동이 불가능했습니다.

또한 기상 악화 시 결항 위험이 커 정시성을 요구하는 직장인 수요와 어긋났습니다.


한강페스티벌

▲ 이미지 출처: 서울문화포털

그럼에도 수상 교통 자체 필요성은 여전히 제기됩니다.

1) 관광 활성화 : 한강페스티벌·불꽃축제 등 관광 이벤트와 결합 시 체류형 소비 유발 효과가 큽니다.

2) 미래 모빌리티 : 전기‧수소 추진선 도입은 탄소중립 전략과 맞닿아 있습니다.

3) 재난 대응 : 태풍·폭설로 육상교통 마비 시 보조 노선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해외 사례도 참고할 만합니다.

영국 템스클리퍼스는 출·퇴근과 관광을 병행해 연 400만 명을 실어 나릅니다.

프랑스 바토무슈 역시 지하철·RER 환승 할인으로 승객을 늘렸습니다.


서울시가 내놓은 개선 로드맵은 다음과 같습니다.

선착장 3곳 추가 설치로 생활권 접근성 강화

통합 환승요금제 도입 및 모바일 정기권 출시

AI 수위 예측 시스템 탑재로 운항 지연 최소화

야간 경관 조명 결합한 관광 크루즈 주말 확대


국내 수상택시 업계는 “민간 파트너십 확대가 관건”이라며, 운항권 공유·선착장 공동 사용을 제안합니다.

시 관계자는 “내년 봄 재개장을 목표로 안전 매뉴얼·표준운영절차(SOP)를 전면 개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수상교통 혁신교통정책·도시계획·관광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빛납니다.

이번 ‘한강버스’ 시범 중단은 시행착오이자 교훈입니다. 안전·정시성·접근성을 갖춘 새로운 한강 모빌리티가 시민 품으로 돌아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