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KT 과징금 사태가 공식화되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28일 전체회의에서 SK텔레콤에 1,347억9,1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의결했습니다.
이번 제재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이후 최초로 ‘전체 매출액의 3% 이내’ 규정을 실제 적용한 사례입니다. 역대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업계 충격이 큽니다.
개인정보위는 SKT가 4월 USIM 서버 해킹으로 이용자 2,324만 명의 전화번호·식별번호 등 25종 개인정보를 유출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고객 피해 신고는 ‘실제 피해 0건’*1으로 집계됐지만, ‘안전조치 의무’ 위반 자체가 막대한 리스크라며 과징금 폭탄을 선택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는 단순 비용이 아니라 필수 투자” — 개인정보위 고학수 위원장
현행법상 전체 매출액 3% 이내까지 부과할 수 있어, 통신 3사 모두 보안 투자를 강화할 동기가 커졌습니다.
이번 SKT 과징금은 2022년 구글(692억 원)을 두 배 넘는 규모로, 통신·플랫폼 업계 전례 없는 경고였습니다.
SKT는 즉각 “7,000억 원 규모 보안 인프라 투자와 5,000억 원대 고객 보호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재발 방지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증권가는 과징금·보상·보안 투자가 3분기 실적을 적자 전환으로 몰아넣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클라우드·AI 전환 가속에 따라 해킹 위험도 커진다”며, ‘행정벌 + 형사벌’ 이중 칼날이 이어질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한편 통신업계는 위약금 면제와 보안 점검 무상 지원 등 소비자 보호책을 잇달아 내놓으며 신뢰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실생활 팁🔒 — 이용자는 통지 문자·이메일 확인 후, 비밀번호 변경·해지 내역 점검을 즉시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는 올 4분기 ‘통신망 특수보안지침’ 개정안을 예고했습니다. AI 침입탐지 장비 의무화와 ‘사후 보고 24시간→12시간’ 단축이 핵심입니다.
결국 SKT 과징금 사건은 개인정보 보호 패러다임 전환점이었습니다. 통신사는 보안을, 국회는 법 개정을, 이용자는 자기정보 통제권 강화를 요구받는 시대가 열렸습니다. 🔐
*1 : 개인정보위 보도자료 ‘SK텔레콤 해킹 피해 접수 현황’(202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