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러시아 연방의 현재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보유한 국가입니다. 11개의 시간대를 아우르는 1,712만 5,000㎢ 규모는 대한민국의 약 170배에 달합니다.

수도 모스크바는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로, GDP의 20% 이상을 차지합니다.

러시아 모스크바 전경
이미지 출처: DW

1.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새 국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17일 정상회담을 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휴전을 중재했습니다.

미 국방장관이 러시아 국기 색상 넥타이를 착용해 논란을 빚은 가운데, 모스크바 외무부는 “긍정적 신호”라며 대화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휴전은 군사적 문제를 넘어 에너지·식량 안보를 안정시키는 열쇠입니다.”– 한림국제대 국제정치학 조성훈 교수


2. 제재 속 러시아 경제

국제 제재로 2024년 러시아 GDP 성장률은 1.2%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에너지 수출 덕분에 경상수지는 흑자를 유지했습니다.

특히 원유·천연가스 거래는 아시아 시장으로 축을 이동하며, 지난해 기준 중국·인도 비중이 47%까지 확대됐습니다.

러시아 원유 수출 항구
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3. 에너지 시장과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유럽의 수요 감소로 ‘시베리아의 힘 2’ 프로젝트가 주목받습니다. 총연장 2,600㎞ 파이프라인이 2027년 완공되면, 연간 500억㎥의 가스가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공급됩니다.

국제원유가격이 배럴당 90달러 선을 유지하면서, 러시아 재정수입의 34%를 차지하는 에너지 관세가 재정 방패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4. 러시아·한국 교역 변화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5년 1~9월 한·러 교역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지만, 식품·의약품 분야에서 오히려 12% 증가했습니다.

원전 해체·SMR(소형모듈원전) 기술 협력이 논의 중이며, 2026년 한·러 과학기술 포럼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릴 예정입니다.


5. 국방·우주기술 재편

수호이-75 체크메이트 경전투기는 2026년 초도 비행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방위산업 수출은 2024년 150억 달러로, 대체 시장 개척이 관건입니다.

로스코스모스는 ‘루나-26’ 탐사선을 2028년 달 궤도에 투입해 자원 탐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6. IT·AI 생태계와 스타트업

모스크바 ‘스콜코보 혁신센터’에는 3,000여 개 스타트업이 입주했습니다. AI 음성비서 ‘아리스타’는 구독자 2,000만 명을 돌파하며 챗GPT 대항마로 부상했습니다.

빅데이터 보안 규제가 강화되면서, 클라우드 자립도가 48%까지 상승했습니다.

러시아 IT 스타트업
이미지 출처: The Guardian

7. 문화·관광 회복세

상트페테르부르크 ‘백야 축제’는 올해 외국인 관람객이 15% 증가했습니다. 루브르 박물관 도난 사건 이후, 러시아 미술관도 보안 시스템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전자비자 확대 정책으로 한국 여행객은 2023년 대비 32% 늘었으며, 블라디보스토크·이르쿠츠크 노선이 인기입니다.


8. 스포츠·e스포츠 동향

KHL 아이스하키 리그는 2025/26시즌 카자흐스탄 팀을 추가해 28개 팀 체제로 확대했습니다.

러시아 e스포츠 ‘Team Spirit’은 DOTA2 국제대회에서 우승하며 총상금 1,800만 달러를 획득, 글로벌 팬덤을 넓혔습니다.


9. 사회 변화와 인구 문제

출산율 1.38명, 기대수명 73.2세로 저출산·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2025년부터 ‘극동 이주 지원금’을 인당 최대 20만 루블까지 확대했습니다.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도로지에’ 가입자는 1,900만 명으로, 원격 진료 시장이 급성장 중입니다.


10. 전망과 과제

러시아가 직면한 핵심 과제는 에너지 의존도, 기술 자립, 인구 구조입니다. 휴전 협상 결과가 국제 금융·원자재 시장 변동성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제재 완화와 투자 회복이 맞물릴 경우 2026년 성장률이 2.5%까지 반등할 수 있다”고 분석합니다.


결론

지정학·경제·기술 세 축에서 러시아는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습니다. 다층적 이해관계 속에서 한국 기업과 투자자 역시 기민한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할 시점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러시아 관련 현안을 심층적으로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신속히 전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