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조국 전 장관, 사면까진 오케이”라고 언급하면서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해당 발언은 광복절 특별사면 발표 직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나왔습니다.
윤 의원은 “입시비리 등 ‘아빠찬스’는 비난받아 마땅하지만 윤석열 정부에서 이미 충분히 사회적 심판을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이어 “사면을 용서와 동일시해선 안 된다”고 덧붙이며 정치·사법 시스템의 분리를 강조했습니다.
이번 발언은 조국 전 장관을 둘러싼 ‘진영 간 첨예한 감정의 골’을 다시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당의 메시지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의당과 국민의힘은 즉각 반발했습니다.
“윤 의원의 발언은 사법 정의를 훼손하는 이중 잣대”
라며 공세를 퍼부었습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사면 찬성은 결국 입시비리 면죄부”라며 여론전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반면 민주당 일각에서는 “사면은 대통령 고유 권한”이라며 윤 의원을 두둔하는 움직임도 포착됩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총선과 대선을 앞둔 중도층 확보 전략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여론은 팽팽합니다. 주요 포털 댓글 분석 결과, 찬성 48%·반대 46%(8월 17일 09시 기준)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30 세대는 ‘공정’ 가치를 강조하며 “특혜 의혹은 결코 용납 못 한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윤준병·조국·윤석열 세 사람의 이름만으로도 정쟁이 점화된다”며 SNS 발언의 파급력을 경고했습니다.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관계자는 “단문 플랫폼에서 극단적 프레임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논란은 결국 대통령 특별사면 제도 자체에 대한 사회적 합의 부족을 드러낸 셈입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9월 정기국회에서 ‘사면권 남용 방지 장치’를 논의할 예정입니다.
한편 윤 의원은 21대 국회에서 교통·공공요금 이슈에 집중해 온 인물입니다. 서울도시교통본부장 출신으로 지하철 무임수송 적자 해결 법안을 대표발의했습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교통 전문가 이미지를 구축해 왔지만, 이번 발언으로 ‘강성·비주류’ 이미지를 동시에 얻게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문화일보
향후 관전 포인트는 두 가지입니다. 첫째, 민주당 지도부가 당내 갈등을 어떻게 관리할지입니다.
둘째, 대통령실이 사면 논란을 계기로 추가 개혁 드라이브를 걸 것인지 여부입니다.
정치권은 이미 ‘포스트 사면 정국’ 계산에 돌입했습니다. 여야 모두 중도층의 눈치를 살피며 메시지를 다듬고 있습니다.
국정 지지율이 민감하게 출렁이는 상황에서 윤준병 의원의 한 문장은 앞으로도 자주 인용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