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극우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일베)가 10일 새벽부터 장시간 접속 장애를 겪으면서 ‘폐쇄설’이 확산됐습니다. 11일 낮 서버가 정상화되면서 논란은 일단락됐지만, 온라인 커뮤니티 생태계와 규제 논의가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


사건 경과입니다. 10일 01시경부터 이용자들은 “사이트에 들어가지지 않는다”는 글을 SNS에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접속 시도 시 ‘504 Gateway Time-out’ 오류가 반복됐고, 구글 검색 결과에서도 주소가 일시적으로 사라졌습니다.

11일 11시55분경 운영진은 공지 게시판을 통해 “비정상 트래픽 유입으로 인한 서버 과부하가 원인”이라며 복구 완료를 알렸습니다. 정부 차원의 차단이나 도메인 압류는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일베 서버 오류 공지 캡처
▲ 출처=한국경제

이틀간 이어진 ‘일베 사이트 장애’ 사태는 단순 서버 문제였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그러나 정치적 이유, 저작권 침해 자료 삭제 요청, 중국 매각설 등 각종 루머가 순식간에 번지며 커뮤니티 규제 이슈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극우 커뮤니티를 방치하면 결국 사회적 비용이 커진다”1 — 시민단체 자유미디어감시센터

일베는 2010년 디시인사이드 일부 게시판에서 분리돼 독립했습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모욕, 5·18 민주화운동 비하 등으로 수차례 형사 처벌 사례를 남겼고, 여성·지역·장애인 혐오 게시물도 끊임없이 논란이 됐습니다.


이번 장애·복구 사태는 세 가지 쟁점을 남겼습니다.

첫째, 사설 커뮤니티의 인프라 취약성입니다. 클라우드 전환 없이 자체 물리 서버만 운용해 온 탓에 트래픽 폭증에 취약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둘째, 표현의 자유와 온라인 헤이트 스피치 규제 간 균형 문제입니다. 일시적 장애만으로도 ‘폐쇄’라는 단어가 확산된 것은 그간 누적된 사회적 피로감이 반영됐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셋째, 극단적 콘텐츠 유통에 대한 플랫폼 책임 논의입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포털의 뉴스·커뮤니티 제휴 심사처럼 커뮤니티 사업자에도 상시 모니터링 의무를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일베 로고
▲ 출처=뉴시스

전문가들은 이번 일베 접속 불가 사태를 계기로 사이버 보안 관점도 재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는 “DDoS 공격 등 외부 위협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트래픽 모니터링과 백업 이중화를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여성계·인권단체는 “지속적인 혐오·차별 게시물 방치”를 이유로 플랫폼 차단을 요구해 왔으며,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통해 관리자 실명제불법정보 즉시 삭제 명령 조항을 강화하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반대로 인터넷 자유연대 등 시민단체는 “정치적 성향을 이유로 특정 사이트를 폐쇄하는 것은 검열에 가깝다”며, 서버 증설 같은 민간 자구책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 트래픽 데이터를 보면, 장애 직전 평상시 대비 약 700% 급증한 접속 시도가 기록됐다는 것이 일베 운영진 설명입니다2. 내부 로그 분석 결과, 동일 IP 대역에서 비정상적인 ‘리프레시 봇’이 대량으로 유입된 정황도 포착됐다고 전했습니다.

정보보호 전문가들은 “트래픽 초당 10만 건 이상이 순간적으로 몰리면 프론트엔드 로드밸런서가 다운될 수 있다”며, CDN(콘텐츠 전송망) 도입과 WAF(Web Application Firewall) 적용을 권장했습니다.

📌 팁: 개인 이용자는 사이트 장애 여부를 확인할 때 ‘다운디텍터’·‘ISITDOWN’ 같은 공개 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용하면 실시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정치권 반응도 엇갈립니다. 여당 일부 의원은 “표현의 자유를 존중하되, 불법정보 유통 방지는 필수”라고 밝혔고, 야당은 “정부가 극단주의 커뮤니티에 면죄부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국회 과방위 관계자는 “플랫폼 책임법이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통과될 것”이라며, 서버 장애가 반복될 경우 과징금 부과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번 ‘일베 사이트 장애’ 사태는 단순 기술적 오류를 넘어, 온라인 혐오·플랫폼 책임·표현의 자유라는 복합적 사회 의제를 드러냈습니다. 전문가들은 “커뮤니티의 생존 전략은 결국 투명한 운영책임 있는 콘텐츠 관리에 달렸다”고 입을 모읍니다.

향후 일베가 보안 강화와 운영 정책 개선을 얼마나 실효성 있게 추진할지, 그리고 정부·국회가 어떤 규제 해법을 제시할지가 커뮤니티 지형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