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전한길 전 한국사 강사가 운영하는 ‘전한길 뉴스’ 채널이 유튜브 수익정지 통보를 받았습니다.

이번 조치는 워싱턴 DC 트루스포럼 연설 직후 알려졌으며, 구글코리아 측 정책 위반 안내가 핵심 이유로 전해졌습니다.


전한길 연설 장면
사진=연합뉴스·재사용 제한

전한길 씨는 행사장에서 “보수 우파를 겨냥한 조직적 탄압”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언제든 채널 폐쇄 위험이 있다”면서 미국 체류 연장을 시사해 ‘망명설’까지 불거졌습니다.

“구글이 좌파에 장악됐다”—전한길, 9월 13일

정치권 반응도 즉각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은 “망령에 휩싸였다”라며 거리를 두었습니다.

반면 일부 보수 유튜버들은 “표현의 자유 침해”를 외치며 연대 방송을 예고했습니다.


플랫폼 측은 명시적 ‘증오성 발언 및 잘못된 정보’ 가이드라인 위반을 들어 반박했습니다.

구글 정책연구회 관계자는 “정치적 성향이 아닌 콘텐츠 규정이 적용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ICT 전문가 박은미 교수는 “알고리즘 투명성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올랐다”고 분석했습니다.

일각에서는 대안 플랫폼으로 럼블·트위터 라이브 등을 거론하지만, 광고 수익 규모가 제한적이라는 지적도 존재합니다.

미국 보수 행사장
사진=MBC NEWS·재사용 제한

이번 사안을 두고 시민사회는 ‘플랫폼 중립성’‘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점을 요구합니다.

법조계에서는 “국내법상 사업자 자율이 우선”이라면서도, 공공성 논쟁이 커질 경우 방통위 논의도 불가피하다고 전망했습니다.

해외 사례를 보면, 2023년 미국 PragerU 소송에서 법원이 유튜브의 자율 권한을 인정했습니다.

비슷한 판례가 국내에서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정치적 파급력은 변수로 남습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여론 조사에 따르면 “플랫폼 규제 필요” 응답이 61%로 다수였습니다.

그러나 20대·30대에서는 “표현의 자유 보장” 의견이 55%로 우세해 세대 간 시각 차도 확연했습니다.

현재 전한길 씨는 법률 검토와 함께 별도 서버 구축 가능성까지 모색 중입니다.

그는 “150만원 상당 방탄복까지 구매했다”며 신변 위협을 호소해 논란을 키웠습니다.

🛡 전문가들은 “과장 전략이 구독자 결집 효과를 노린 것”이라면서도, 실제 위험 여부는 별개라고 지적합니다.

결국 이번 사건은 콘텐츠 정책정치적 메시지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디지털 공론장의 한계를 보여줍니다.

향후 플랫폼 책임법 논의가 본격화할지 주목되며, ‘전한길 사태’는 국내외 규제 지형에 큰 시험대가 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