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이 올 하반기 정책자금 공급 규모를 대폭 늘리고, 재창업 특화교육·연수원 개방 등 다각적 프로그램을 가동하며 중소벤처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1. 정책자금 5조 8,307억 원으로 확대*2025년 2차 추경 반영입니다. 중진공 정책자금운전자금·창업기반지원자금·혁신창업사업화자금으로 세분돼 있으며, 이번 증액분 2,000억 원은 대부분 혁신창업기업에 투입됩니다.

“미래 먹거리 기업을 제때 키워야 한국 경제가 살아납니다.” –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

혁신창업사업화자금 ▲ 사진=전민일보 / 중진공 전북본부 제공


2. 벤처·스타트업 집중 육성 전략도 가속화됩니다. 기술성·사업성이 입증된 기업은 최저 2%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고금리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습니다.

3. 재창업 특화교육 및 컨설팅도 150명 규모로 확대됐습니다. 폐업 경험이 있는 (예비)창업자는 IR 데모데이·심화 컨설팅을 무료로 지원받아 재도전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재창업 특화교육 ▲ 사진=한국경제 / 중진공 제공


4. 중기부·중진공이 공동 추진하는 해외멘토단 프로그램은 미국 수입 관세 대응·글로벌 인증 획득 과정을 실시간으로 코칭합니다. 최근 KCTDI 세미나에서는 RCEP 활용법EU CBAM 대응 전략이 집중 소개됐습니다.

5. 자산거래중개장터(중고몰)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레이저가공기·공작기계 등 고가 설비를 최대 70% 절감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어 스마트팩토리 구축 비용 부담이 크게 낮아집니다.

중진공 자산거래중개장터 ▲ 사진=중진공 홈페이지 캡처


6. 오는 14일부터 한 달간 전국 6개 연수원이 전면 개방됩니다. 태백·천안·광주·경산·진해·안산 연수원은 숙박·세미나실·체육시설을 모두 개방해 중소기업 워크숍뿐 아니라 일반 국민 휴양지로도 활용 가능합니다.

연수원 개방 ▲ 사진=매일일보 / 중진공 제공

7. 디지털 전환 역시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중진공은 AICCAI Contact Center를 도입해 정책자금 상담 대기시간을 24% 단축했고, 챗봇 ‘KOSMES Bot’을 통해 연 120만 건의 문의를 자동 처리합니다.

8. ESG 경영지원단은 탄소중립 설비 도입 시 최대 1.5%p 금리 우대를 제공하며, ‘2030 무배출 공장’ 선도기업 300곳을 선정해 집중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9. 중진공 지역혁신센터 31곳은 지방중소기업의 디자인·지재권·규제샌드박스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연결합니다. 최근 전북센터는 수출 드론기업에 CE 인증 컨설팅을 연계해 첫 EU 물량 수출 성과를 냈습니다.

10.

“단순 융자를 넘어 교육·컨설팅·판로·글로벌화까지 한눈에 보는 ‘성장 플랫폼’이 중진공의 목표입니다.” – 중진공 관계자

11. 전문가들은 ‘정책 패키지형 지원’이 변동성 큰 글로벌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생존력을 높이는 핵심이라고 분석합니다. 특히 이자·환율·관세 삼중고에 직면한 수출 중소기업에게 실질적 ‘버팀목’이 되고 있습니다.

12. 정책자금 신청 TIP: 중진공 기업종합정보시스템(KOSMES) 회원가입 → 온라인 사전진단 제출 → ‘기업평가서’ 발급 후 담당지역 본부 접수 → 서류·현장·평가 통과 시 자금 실행 순입니다.

13. 중진공 콜센터(1357)와 전국 33개 지역본부는 평일 09:00~18:00 운영되며, ‘찾아가는 현장 상담버스’도 매주 지방 산업단지를 순회하고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중진공자금·인력·수출·재도전·시설을 아우르는 종합 지원을 통해 중소벤처 성장 사다리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습니다. 금리 상승기 속에서도 저비용·고효율 성장 솔루션을 찾는 기업이라면, 지금 바로 중진공 프로그램을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