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일 오전 6시48분께 지하철 7호선 철산역 상행선에서 발생한 차량 고장은 최대 40여 분간 열차 운행을 지연시켰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7시35분경 현장 조치를 완료하고 열차를 신풍역 유치선으로 이동시켰다”고 밝혔습니다.
ⓒ 뉴스1 제공
출근길 승객들은 20~30분가량 늘어난 배차 간격 탓에 혼잡도를 체감했습니다.
공사는
“대체 노선(1·2호선)이나 버스 노선을 확인해 달라”
며 안내 방송과 SNS로 실시간 정보를 전달했습니다.
이번 7호선 지연은 ▲차량 제어장치 오작동 ▲전장품 과열 가능성 등이 1차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정확한 고장 원인은 철도안전관리규정에 따라 7일 이내 기계·전기 합동 진단 후 공개될 예정입니다.
ⓒ 국제뉴스 제공
전문가들은 “출근·퇴근 시간대 고장 대비를 위해 카카오 T 지하철·굿모닝서울 앱의 알림 기능을 활성화하라”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7호선 연장 구간인 송도·판교 노선 확장에 따라 노선 길이가 늘면서 유지·보수 주기의 체계적 재설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2026년까지 전 차량에 실시간 진단 시스템을 설치해 고장 원인을 사전 탐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만약 지하철 지연으로 회사·학교 지각이 우려될 경우, ‘열차 지연 증명서’를 역무실 또는 모바일 발급 시스템에서 즉시 출력할 수 있습니다.
교통 전문가 이수진 박사는 “7호선 승객 1일 평균 91만 명 가운데 12%가 광명·부천 생활권을 이동한다”며 대체 노선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끝으로 서울교통공사는 “안전 운행을 최우선으로 두고 있으며, 동일 유형 고장 재발 방지를 위한 부품 전수 점검에 착수했다”고 전했습니다.
📌 Tip: 고장·지연 시 @seoulmetro7 트위터 실시간 공지, ‘T맵 대중교통’의 우회 경로 확인, 카카오버스로 주변 버스 연계 이동을 병행하면 이동 시간을 최소 15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이번 7호선 지연 사태는 빠르게 정상화됐지만, 반복되는 열차 고장은 광범위한 도시 이동 패턴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라이브이슈KR은 후속 조사 결과와 보상 정책 발표 시점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