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종오 국민의힘 의원이 사제 총기 100여정과 경기용 실탄 2만발 불법 유통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그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사안을 밀실 수사로 덮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 연합뉴스
이번 폭로는 지난 대선에서 불거졌던 ‘이재명 대통령 저격설’ 수사 과정에서 확보된 증거를 토대로 합니다. 경찰은 사건 연루자 조사 과정에서 경기용 실탄 다량을 압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경찰 기록상 확인된 총기·탄약 행방을 즉시 공개하라”면서, 총기 관리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경찰청에 자료 제출을 촉구했습니다.
🥇 올림픽 3연패 사격 영웅 출신인 진종오 의원의 전문성은 문제의 심각성을 배가합니다. 선수 시절 세계신기록을 수차례 갈아치운 그는 “경기용 실탄은 정밀 규격이라 일반 실탄보다 치명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만발이면 국제대회 50m권총 본선 기준으로 1,000명 이상이 동시에 사격 훈련을 소화할 수 있는 양입니다.” – 진종오 의원
그는 다가올 10월 APEC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해외 정상 경호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며 정부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 SBS News
경찰청은 “구체적 수사 내용은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압수 실탄 전수조사·유통 경로 추적에 수사력을 집중한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총포·도검·화약류 등 안전관리법 개정과 온라인 총기 부품 거래 차단을 시급 과제로 꼽습니다.
한편 진종오 의원은 같은 날 ‘안무 저작권 보호’를 위한 저작권법 개정안도 발의했습니다. K-POP 안무가의 성명 표시는 물론, 표준계약 의무화 조항을 포함했습니다.
ⓒ 뉴스1
문화계는 “안무가 권리가 최초로 법률에 명시된 역사적 전환점”이라 평가했습니다. 체육·문화 두 영역에서 활약 중인 그가 입법 드라이브를 이어가는 모습입니다.
🏛️ 정치권에서는 “안전·문화 정책을 한 축으로 묶어 통합 브랜딩 전략을 펼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국내 총기 관리 체계는 스포츠·사냥·보존 세 갈래로 나뉘지만, 3D 프린터 부품·밀수 경로 등 변칙 수법이 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 ‘총기제로네트워크’는 “사이버 수사 인력 확충과 탄약 실시간 추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종합하면, 진종오 의원의 이번 문제 제기는 국가안보와 문화산업 보호를 동시에 겨냥합니다. 현행 제도의 맹점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향후 입법·행정부 움직임이 주목됩니다.
라이브이슈KR는 불법 총기 수사와 저작권법 개정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