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국방부가 채일 국방홍보원장을 전격 직위해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지난 2주간의 특별 감사에서 드러난 직권남용·폭언·보도 개입 의혹이 결정적 근거로 작용했습니다.


채일 국방홍보원장 직위해제 보도 화면
사진=IMBC 뉴스 화면 캡처

채일 원장은 국방일보 발행인으로서 보도 내용에 수차례 개입군(軍) 언론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국방부 감사관실은 7월 24일부터 30일까지 현장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성실의무·품위유지의무 위반 정황이 구체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감사 결과에 따라 직위해제와 함께 강요·명예훼손 혐의경찰 수사도 의뢰했습니다.”국방부 관계자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즉각 성명을 발표해 “지금이 땡전 시대인가”라며 채일 원장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협회는 군 매체가 정치적 중립을 잃으면 장병 여론이 왜곡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공익신고는 국민권익위원회에도 접수돼 있어, 권익위 조사와 감사원 감찰까지 맞물릴 예정입니다.

특히 채일 원장은 일부 간부에게 특정 기사 삭제와 제목 수정을 지시국방일보 내부 제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사실로 확인될 경우, 직권남용죄언론자유 침해가 동시에 문제 됩니다.

국방부 청사 전경
사진=뉴스1 제공

정치권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여당은 “군 기강 확립 차원에서 불가피한 조치”라고 환영했으며, 야당은 “언론 탄압 정권의 희생양”이라며 진상 공개를 요구했습니다.

국방부는 후임 원장 인선까지 공보관 직무대행 체제를 유지합니다. 내부 소요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사검증 기간을 한 달 이내로 단축한다는 방침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군 공보 시스템 전반의 쇄신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디지털 시대,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지 않으면 안보 콘텐츠 경쟁에서 뒤처집니다.”양지훈 공공커뮤니케이션학회장

채일 이슈는 장병·예비역뿐 아니라 일반 국민에게도 언론 자유와 국가 안보 홍보의 균형이라는 숙제를 던졌습니다.

향후 수사 과정에서 휴대전화 포렌식·메일 기록 등이 공개되면, 국방 홍보 예산 집행 방식까지 재점검될 전망입니다.

국방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중징계 뿐 아니라 손해배상 청구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채일 원장은 최대 파면까지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오는 10월 국정감사에서 채일 사안이 핵심 쟁점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본지는 후속 절차와 군 언론 제도 개선 논의를 계속 추적해 보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