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중앙일보 ⓒJoongAng
국방부가 4일 오후 채일 국방홍보원장을 전격 직위해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강요·명예훼손·직권남용 의혹에 대한 감사 결과가 사실상 ‘유죄’에 무게를 두면서 내려진 결정이었습니다. 😮
국방홍보원장은 군 전 장병과 국민에게 국방 정책을 알리고 국방일보·국방TV·라디오FM국방 등을 총괄하는 자리입니다. 다시 말해 군 공보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해 국방일보에 ‘한미 정상 통화’ 보도를 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폭로에서 시작됐습니다. 이후 내부 제보가 잇달아 접수되며 파문이 커졌습니다.
감사관실은 17건의 민원을 조사했고, 다수 항목에서 규정 위반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보도 개입 6건, 폭언‧모욕 5건, 인사 전횡 3건 등이 명시됐습니다.
“군 언론은 절대 정치적 중립을 잃어선 안 된다.” — 국방부 고위 관계자
한국인터넷기자협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지금이 ‘땡전 시대’인가”라며 채일 원장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협회는 특히 언론 자유 침해를 가장 심각한 사안으로 지목했습니다. 📰
사진 출처: 뉴스토마토
국방부는 감사를 토대로 징계위원회 개최를 국방부 인사참모부에 요구했습니다. 동시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형사 수사를 의뢰해 강요죄·명예훼손 적용 여부를 가늠할 예정입니다.
전문가들은 “국방홍보원장이 차관급 대우를 받는 만큼, 직위해제는 사실상 최고 수위의 징계 절차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향후 변수는 후임 인선과 조직 안정성입니다. 국방부는 내부 승진과 외부 전문가 영입을 동시에 검토하지만, ‘정치적 중립성’이 최우선 기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채일 원장은 “사실무근”이라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그러나 감사 보고서에는 피해자 다수가 실명 진술을 했다는 대목이 포함돼 있어 치열한 공방이 예상됩니다.
사진 출처: MBC
군 내부에선 “지휘·보고 라인이 흔들렸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옵니다. 장병들은 익명 게시판을 통해 “언론 장악 논란은 곧 사기 저하로 이어진다”고 토로했습니다.
법조계는 “직권남용(형법 제123조)은 물론, 기자 개인에게 특정 기사를 삭제하도록 강요했다면 강요죄 성립 가능성도 크다”고 분석합니다.
이번 사태는 ‘공보 투명성’을 도마 위에 올렸습니다. 전문가들은 ① 국방부 독립 감사 ② 외부 시민위원 참여 ③ 상시 감시 체계 등 세 가지 보완책을 제시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후임 국방홍보원장은 10월 국정감사 이전에 선임해 조직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결국 채일 국방홍보원장의 직위해제는 군 공보 시스템 전반을 재정비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정치 중립과 언론 자유라는 두 축이 어떻게 균형을 찾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