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이 딸 결혼식 축의금 반환 문자가 포착되면서 정가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
26일 본회의장에서 대기업·언론사 관계자 이름 옆에 ‘100만원·50만원’이 적힌 텔레그램 화면이 취재진 카메라에 찍혔습니다. 900만원 입금 완료·30만원 전달 등의 지시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사진=조선일보 캡처
최 의원실은 “상임위 관련 기관·기업에서 온 돈은 전액 반환 지시를 내린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뇌물은 돌려줘도 뇌물”이라며 위원장직 사퇴를 요구했습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감 기간 피감기관 돈을 받는 건 명백한 이해충돌”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법조계도 시선을 집중합니다. 변호사단체는 “공직자 이해충돌방지법·정치자금법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처벌 가능성은 증빙 자료와 고의성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사진=한겨레신문 캡처
사진=한겨레신문 캡처
이번 논란은 보좌진 사적 업무 지시로도 번졌습니다. 보좌관 노조는 “사적 심부름은 갑질”이라며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
정치 경력 면에서도 파장은 적지 않습니다. 19대 국회의원을 지낸 그는 22대 총선에서 재입성하며 친명(親明)계 중진으로 분류돼 왔습니다.
 이미지=나무위키
이미지=나무위키
특히 그가 이끄는 과방위는 방송·통신 규제와 K-디지털 전략을 총괄합니다. 이해 관계자가 넓은 만큼 청렴성이 더욱 강조됩니다.
국회 윤리특위는 “사실관계 보고서 접수 즉시 심의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징계 수위는 경고 ↔ 제명까지 폭넓게 설정돼 있습니다.
여론도 뜨겁습니다. SNS에선 “축의금 자체보다 타이밍이 문제”라는 지적과 “돌려준다는데 뭐가 문제냐”는 옹호가 맞서고 있습니다. 🔥
향후 시나리오는 두 갈래입니다. ①자진 사과·윤리위 경고로 봉합 ②검찰 수사·중징계로 확산. 여야 대치가 해소되지 않으면 두 번째 가능성이 커집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정치권 관행 개선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축의금 가이드라인과 보좌진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해야 반복을 막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결론적으로, 최민희 의원 논란은 개인을 넘어 국회 신뢰·공직윤리 전반을 시험하는 중대한 분수령이 되고 있습니다. 제도 개선과 투명성이 뒷받침돼야 비로소 논란이 마무리될 것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