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최근 경부선 무궁화호 사고 이후 전사적 안전 혁신을 선언했습니다. 이번 사고는 7명의 사상자를 낳으며 국민적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9월 1일 대전 본사 및 대구본부를 10시간가량 압수수색했습니다. 한문희 전 사장前 등 경영진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입건되면서 코레일은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을 재점검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MBC 화면 갈무리
☑️ 비상대책본부 가동 코레일은 사고 직후 현장 중심의 안전 점검을 강화했습니다. 본사·지역본부·역무 현장을 잇는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제거하고 있습니다.
☑️ 디지털 트윈 기술 도입으로 선로·차량 상태를 3D 가상 공간에서 분석해 고장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AI 기술이 사고 위험을 30% 이상 줄일 것이라는 자체 분석도 내놓았습니다.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인력·예산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 코레일 관계자
코레일은 또 다른 혁신으로 KTX·ITX 매표 시스템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모바일 앱 ‘코레일톡’은 UX/UI를 개선해 예매 절차를 3단계로 단축했습니다. ⏱️ 이용객 대기 시간을 평균 22% 줄였다는 설명입니다.
사진 출처: 철도경제신문
코레일 철도공익복지재단은 노숙인 자활 사업을 위해 800만 원을 기부했습니다. ESG 경영을 강화하며 ‘사람·세상·미래를 잇는 철도’라는 슬로건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정보공개 투명성도 높아졌습니다. 업무추진비·용역계약 내역을 공식 포털에 실시간 공개해 국민 신뢰를 제고했습니다.
🚉 수도권에서는 솔빛나루역 신설이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화성시는 국가철도공단·코레일과 위수탁 협약을 체결하며 동탄권 교통난 해소에 나섭니다.
또한 코레일네트웍스는 통합신고센터 앱을 구글 플레이에 출시했습니다. 익명성이 보장된 채 갑질·부당업무 신고가 가능해 내부 청렴도 역시 향상될 전망입니다.
사진 출처: Google Play 스토어
코레일은 2026년까지 수소·배터리 하이브리드 열차 34편성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환경부 탄소중립 로드맵과 궤를 같이하며, 연간 3만 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재무적으로는 지난해 매출 9조 1,000억 원, 영업이익 2,6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관광 활성화와 화물 철도 물동량 회복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해결 과제도 존재합니다. 안전 인력 고령화와 적자 노선 구조조정 요구가 맞물리며 노사 협상이 쉽지 않은 모습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 혁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2,6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코레일은 이를 토대로 관제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추진합니다.
코레일은 10월부터 부산~강릉 KTX에 4차산업Wi-Fi6E를 시범 적용합니다. 이용객들은 초당 1.2Gbps 속도의 초고속 인터넷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 여행상품도 다채로워졌습니다. ‘팔도 기차여행 패스’가 호응을 얻으며 예약률 120%를 기록했습니다. MZ세대는 물론 시니어 층까지 ‘슬로우 트래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종합하면, 코레일은 안전 사고라는 위기를 디지털 전환·ESG 경영 기회로 삼아 변모하고 있습니다. 국민 신뢰 회복과 함께 ‘세계 10대 스마트 철도’ 도약을 목표로 내달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