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경기 파주시 육군부대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7명이 다쳤습니다. 본지는 사고 발생 경위부터 대응 현황, 향후 과제까지 집중적으로 짚어봅니다.


🕒 10일 오후 3시 30분경, 파주 군부대 내 실습장에서 ‘교육용 폭탄’이 예상치 못한 순간 터졌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훈련용 교보재를 다루던 중 폭발음과 함께 화염이 치솟았다”고 진술했습니다.


파주 군부대 폭발 현장ⓒ 매일경제

부상자 7명은 인근 국군병원과 파주 지역 종합병원으로 분산 이송됐습니다. 2명은 화상, 5명은 파편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

육군 관계자: “실습용 장비라도 폭발력은 실탄의 30% 수준이어서 안전수칙 준수가 필수”

군 당국은 사고 직후 현장 통제선을 설치하고 군사경찰(CID)을 투입해 원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응급 이송 모습ⓒ 세계일보

파주 군부대 폭발사고는 최근 5년간 군 교육훈련 중 발생한 6번째 유사 사례로 집계됩니다.

전문가들은 “모의탄이라 하더라도 방호벽·원격점화 장치를 동시에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 과거 사례를 보면, 2023년 논산 훈련소·2024년 강원 인제 부대에서도 유사한 ‘저강도 폭발’총 11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공통점은 안전핀 해제 시각·조교 감독 공백이 사고로 이어졌다는 것입니다.


🌐 지역 사회 반응 역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파주시민 A씨는 “민·군 합동 안전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주변 주민 200여 명은 ‘안전 설명회’ 개최를 요구하는 진정서를 시청에 제출했습니다.


사고 현장 전경ⓒ 국제신문

국방부는 “모든 실습탄을 전수 점검하고, 비상 대응 교본을 즉시 개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야외 실습장 CCTV 추가 설치실시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입니다.


🛡️ 안전 전문가 정재훈 한국방호학회장은 “훈련병 대신 로봇·가상현실(VR)로 실습을 대체하는 첨단 교육환경이 해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미군은 2026년부터 AR 폭발물 해체 훈련을 전면 시행해 현장 사고율 70% 감소 효과를 거뒀습니다.


👁️‍🗨️ 이번 파주 군부대 사고는 ‘작지만 치명적’인 훈련용 폭발물 관리의 허점을 드러냈습니다.

군과 정부가 지속 가능한 안전 문화를 구축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라이브이슈KR사고 원인 규명제도 개선 과정을 끝까지 추적, 보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