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피스네트워크(Pyth Network)미국 상무부(Department of Commerce)와 손잡고 공식 거시경제 지표를 블록체인에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협력으로 2분기 미국 GDP 성장률 등 핵심 데이터가 체인 상에 기록됐습니다. 정부가 직접 검증한 수치가 퍼블릭 체인에 올라간 것은 사상 최초입니다.

Pyth Network & Commerce Dept출처: Pyth Network 공식 블로그


🔮 피스네트워크란? 피스네트워크는 나스닥, CME, JP모건 등 글로벌 전통 금융사가 제공하는 가격·지표를 실시간으로 집계해 200여 개 블록체인에 송출하는 탈중앙 오라클 네트워크입니다.

솔라나 기반으로 출발했지만, 웜홀(Wormhole) 브리지 덕분에 이더리움·코스모스·아발란체 등 다중 체인으로 확장해 왔습니다.


📊 협력 구조

“정부 데이터를 스마트컨트랙트와 일반 대중에 동시에 제공하는 것은 투명성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입니다.” — 마이크 카힐, Douro Labs(피스 개발사) CEO

상무부가 발표한 GDP·PCE·개인소득 등 원본 지표를 피스네트워크가 실시간 검증 후 블록체인에 게시합니다. 이어 디앱(DApp) 개발자는 오라클 호출만으로 동일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체인링크는 경제분석국(BEA) 데이터 전송을, 피스는 GDP 배포를 각각 담당해 다중 오라클 구조를 구축했습니다.


💡 왜 중요한가?

  • 디파이 플랫폼은 공식 GDP 성장률을 근거로 거시 매크로 지수 스왑·국채 토큰 같은 신상품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 국채 ETF·스테이블코인 리밸런스까지 자동화돼 전통금융 ↔ 온체인 경계가 흐려집니다.
  • 투자자에게는 데이터 조작 리스크가 대폭 감소합니다.

📈 시장 반응

발표 직후 PYTH 토큰은 업비트·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에서 하루 만에 최대 77% 급등했습니다. 매수 체결강도는 190%를 돌파하며, ‘가장 많이 검색된 코인’에 올랐습니다.

PYTH price surge출처: X(@PythNetwork)


🗺️ 로드맵과 확장성

피스네트워크는 5년 치 GDP 이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온체인화할 계획입니다. 이후 실업률·소비자신뢰지수·CPI 등으로 범위를 넓혀 ‘거시 데이터 레이어’를 구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동시에 메인넷 런칭, 스테이킹 청사진도 공개돼 파트너 생태계가 빠르게 확장될 전망입니다.


⚠️ 투자 유의점

  • 공식 데이터라도 스마트컨트랙트 오류체인 간 브리지 취약점으로 정보가 왜곡될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 PYTH 토큰은 아직 상장 초기 단계라 변동성이 큽니다. 레버리지·선물 거래 시에는 청산 리스크를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전문가 한마디

“온체인 거버넌스 관점에서 보면, 이는 국가 단위 데이터 관리 방식이 ‘퍼블릭 체인’으로 넘어가는 신호탄입니다. 디지털 자산의 제도권 편입 속도가 가속화될 것입니다.” — 한국블록체인협회 연구위원 김현재


🌐 국내 영향

국내 증권·은행권도 STO(증권형 토큰) 파일럿 사업에 공식 통계 연동을 검토 중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오라클 신뢰성 확보가 선결 과제”라며, 피스네트워크 사례를 참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결론

피스네트워크의 이번 협력은 온체인 데이터 시대를 알리는 분수령이 됐습니다. 가격 오라클을 넘어 거시경제 오라클을 개척한 피스네트워크가 앞으로 어떤 혁신을 이어갈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