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국어대학교(이하 한국외대)가 다양한 교육 혁신 전략을 통해 세계 중심 대학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출처 =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홈페이지
올해 한국외대는 AI 융합 외국어 교육과 국제화 특성화 프로그램을 전면에 내세우며 미래 교육 모델을 제시했습니다.
“외국어와 전문 지식을 결합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겠습니다.” – 곽만근 총장*2024년 개교 70주년 기념사 중
아래에서 입학 정보부터 장학 혜택, 캠퍼스 생활까지 한국외대의 최신 이슈를 짚어봅니다.
1. 2025학년도 정시·수시 모집 요강
한국외대는 서울캠퍼스와 글로벌캠퍼스(용인)에서 총 3,856명의 신입생을 모집합니다. 특히 스페인어과·몽골어과·노어과 등 희소 언어 전공은 올해도 높은 경쟁률이 예상됩니다.
- 원서접수: 12월 28일 09:00 ~ 1월 2일 18:00
- 학생부종합전형 ‘HUFS인재’: 언어능력+글로벌 역량 평가
- 논술전형: 외국어 에세이 포함, 영어·제2외국어 선택 가능
2.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와의 연계 학위
재학생은 최대 3과목을 사이버한국외대(CUFS)와 교류 수강할 수 있어 온라인 복수 전공이 한층 수월해졌습니다.
출처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홀
3. 장학 제도 대폭 확대
2024년 기준 장학금 예산은 전년 대비 12% 증가했습니다. TOPIK 우수 장학·해외 인턴 장학·저소득층 배려 장학 등이 대표적입니다.
- 성적 우수: 등록금 100% 면제
- 다문화·북한이탈주민: 매학기 200만 원 지원
- 학부 연구참여: 프로젝트당 최대 300만 원
4. 글로벌홀, 스마트 기숙사로 탈바꿈
서울캠퍼스 기숙사 ‘글로벌홀’은 AI 출입 시스템·IoT 난방 제어를 도입했습니다. 에너지 절감률 23%를 기록하며 친환경 캠퍼스 구축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5. 교육대학원, 다전공 심화 과정 개설
한국외대 교육대학원은 2025학년도부터 ‘글로벌언어교육학 석사’ 과정을 신설했습니다.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가 AI 기반 언어지도를 연구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강화했습니다.
6. 진로·취업 지원 현황
교내 ‘HUFS커리어센터’는 산업체 연계 인턴십을 월평균 180건 제공하고 있습니다. 취업게시판에는 다국적 기업 채용 공고가 매일 업데이트됩니다.
특히 취업맞춤형 외국어 시험 대비반은 토익스피킹·OPIc·HSK를 집중 지원해 학생 만족도가 높습니다.
7. 학술·세미나: 세계를 잇다
한국외대는 몽골국립대·베이징외대와 공동 학술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다중언어 AI통·번역’이 핵심 주제로, 산업계·학계가 모여 실행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8. 캠퍼스 라이프 & 스포츠
‘HUFSPORTS’는 GYM90 외대점과 손잡고 재학생 전용 50% 할인 이벤트를 진행 중입니다. 🏋️♂️ 덕분에 학기 중에도 건강 관리가 한층 쉬워졌습니다.
9. 디지털 혁신: 메타버스 강의실 시범 운영
2024년 2학기부터 메타버스 플랫폼 ‘HUFSverse’가 도입돼 원격 협업이 가능해졌습니다. 교수와 학생은 3D 아바타로 실시간 토론을 진행하며, 만족도 조사에서 92%가 ‘만족’ 이상을 표했습니다.
10. ESG 경영과 사회공헌
한국외대는 저탄소 캠퍼스 선언 이후 페트병 ZERO 캠페인을 통해 1년간 약 120만 개의 일회용품 사용을 줄였습니다. 또한 지역 아동 대상 무료 외국어 교실로 사회적 가치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11. 입학 준비생을 위한 꿀팁
① 희소 언어 면접은 기초 의사소통 능력과 전공 열의를 중점 평가합니다.
② 학생부 비교과에서는 국제 교류 활동·봉사·토론대회 수상이 높은 점수를 받습니다.
③ 논술 준비 시, 시사 이슈를 외국어로 요약·비평하는 연습이 효과적입니다.
12. 졸업 이후 진로
최근 3년간 졸업생 취업률은 72.4%로, 국내 대학 평균(65.1%)보다 높습니다. 주요 진출 분야는 국제기구·외교관·글로벌 마케팅·AI 번역 전문가 등입니다.
13. 동문 네트워크 ‘HUFS Alumni’
전 세계 147개국에 12만 명 이상의 동문이 활약 중입니다. 동문회는 매년 글로벌 잡페어를 개최하여 후배 멘토링과 채용 연계를 지원합니다.
14. 앞으로의 과제와 비전
한국외대는 2030년까지 QS 세계 대학 순위 200위권 진입을 목표로 세웠습니다. AI·데이터 기반 맞춤형 언어교육 플랫폼 구축이 핵심 전략입니다.
15. 맺음말
한국외대는 ‘언어는 세계를 여는 열쇠’라는 모토 아래 글로벌 역량과 미래 기술을 접목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수험생·학부모·산업계 모두 한국외대의 변화를 주목할 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