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한학자 구속 여부가 이르면 오늘 밤 결정될 전망입니다. 서울중앙지법은 22일 오후 1시 30분부터 통일교(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한학자 총재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를 5시간 넘게 진행했습니다.


한 총재는 휠체어를 탄 채 법정에 모습을 드러내며 취재진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았습니다. 특검팀은 “정교유착 의혹의 ‘정점’”이라며 정치자금법·청탁금지법 위반업무상 횡령 등을 묶어 420쪽에 달하는 의견서를 제출했습니다.

한학자 총재 영장심사 출석 장면 ▲ 이미지 출처: JTBC News 유튜브

특검은 2022년 1월 통일교 현안 해결 대가로 권성동 의원에게 1억 원을 제공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4~7월에는 ‘건진법사’ 전성배 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명품 가방과 목걸이를 전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교단 자금이 사적 청탁 통로로 쓰였다” – 특검 관계자

방어 논리는 달랐습니다. 한학자 측 변호인은 “종단 차원에서 승인된 기부”라며 정치 로비 의도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또 “총재는 구체적 보고를 받지 못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현장연결 화면 ▲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TV

이번 사건은 종교 지도자에 대한 첫 구속영장 청구1라는 점에서 이목을 끕니다. 학계에서는 “정치·종교 경계를 재정립할 분수령”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수사는 윤영호 전 세계본부장의 진술로 급물살을 탔습니다. 그는 “‘교단이 곧 국가’라는 발언이 내부 결재 라인을 통해 대통령 부인에게까지 전달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치권 파장도 큽니다. 여당 관계자는 “권 의원 개인 문제”라고 선을 그었지만, 야당은 “대통령 배우자 관여 의혹”이라며 확대 공세를 예고했습니다.

법조계는 도주·증거인멸 우려를 구속 판단 핵심으로 꼽습니다. 한 총재가 해외 신도 수만 명에 영향력을 미치는 만큼 ‘구속 필요성’이 크다는 설명입니다.

YTN 보도 장면 ▲ 이미지 출처: YTN

반면 세계일보 등 통일교 계열사는 “구속만이 능사냐”며 특검 수사의 ‘과잉’을 지적했습니다. 이해충돌 논란 속 언론윤리 문제도 함께 떠올랐습니다.

전문가들은 “한학자 구속 결정이 나올 경우, 후속 수사가 해외 선교 재정 흐름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특히 미국·일본 네트워크 자금 추적이 관건입니다.

종교단체 투명성 요구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들은 ‘종교인 과세 확대·특별감사법’ 제정을 촉구하며 23일 광화문 집회를 예고했습니다.

법원의 판단은 늦어도 오늘 자정쯤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구속영장이 발부되면 한 총재는 즉시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특검 조사에 응해야 합니다.

통일교 내부는 ‘신도 결속’을 강조하며 의혹 부인 성명을 냈습니다. 그러나 해외 지부 일부는 “재정 투명성을 확인할 때”라며 자성과 쇄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최종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한학자 구속’ 키워드는 정치권, 종교계, 시민사회의 시선을 한곳에 모으고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판결 결과와 후속 수사 방향을 신속히 전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