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캠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최근 캄보디아 스캠 조직·로맨스 스캠·온라인 투자 스캠이 동시다발적으로 확산하면서 사회적 경각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 국가정보원은 “해외 스캠 단지에 가담한 한국인이 최대 2천 명”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프놈펜·시아누크빌 등지에 50여 개 범죄 거점이 운영 중이라는 분석입니다.
“캄보디아 스캠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 中
이미지 출처: Unsplash
💸 법무부는 120억 원대 로맨스 스캠 총책 부부 송환을 캄보디아 당국에 재요청했습니다. 피해자만 170여 명, 국내·외 계좌로 흘러간 돈이 수백억 원에 달합니다.
🎭 배우 이정재를 사칭해 5억 원을 편취한 사례도 발생했습니다. AI 합성 셀카·위조 신분증을 활용해 신뢰를 쌓은 뒤 거액을 요구하는 전형적 스캠 수법이었습니다.
🌐 해외뿐 아니라 국내도 안전지대가 아닙니다. ‘단 하루 10% 수익’을 강조하는 가상화폐·FX 마진거래 스캠이 활개치며, 해외 서버를 둔 플랫폼이 규제 사각지대를 파고듭니다.
이미지 출처: Unsplash
🕵️♂️ 전문가들은 로맨스 스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합니다1:
- 첫 연락부터 과도한 애정 표현·‘운명적 만남’ 강조
- 영상통화 거부 혹은 짧은 통화로 신뢰 확보
- 이벤트·수술·통관 수수료 등 명목으로 단계별 금전 요구
- 피해자가 망설이면 ‘대면 약속’ 카드로 압박
투자 스캠 역시 비슷한 패턴을 보입니다. 무료 리딩방 → 소액 수익 경험 → 대규모 입금 유도 → 출금 지연 핑계 → 잠적 수순이 대표적입니다.
🔗 최근엔 해외 취업 미끼형 스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월 500만 원 고소득 보장”이라는 공고 뒤엔 여권 갈취·노예 노동·전신 감금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외교부는 필리핀·태국·라오스 등과 ‘역내 스캠 단지 공동대응 라인’을 구축해 구금 한국인 송환 및 범죄 거점을 순차 봉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 피해 예방 수칙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 모르는 해외 번호·SNS 계정의 금전 요청은 즉시 차단
- ‘로맨스·투자·해외취업’ 키워드가 동시에 등장하면 의심
- 출금 불가·통관 수수료 요구 시 경찰청 사이버수사국(182) 상담
- 해외 체류자는 관할 대사관 비상연락망 저장
- 투자 전 금융감독원 ‘스캠·유사수신 조회 시스템’ 확인
만약 돈을 보냈다면 즉시 은행 콜센터에 ‘지급정지’를 요청하고, 사이버범죄 신고를 병행해야 합니다. 초기 24시간이 환급 가능성의 분수령입니다.
“스캠은 진화하지만, 기본 원칙은 변하지 않습니다. ‘확인되지 않은 상대에게 돈을 보내지 않는다’는 상식이 최고의 백신입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관계자
정부·기관 합동대책도 속도를 냅니다. 경찰청은 올 하반기까지 스캠 국제공조수사팀을 2배 확대하고,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거래소 상시 모니터링 인력을 보강했습니다.
📊 피해 규모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스캠 관련 신고액은 9,2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급증했습니다.
특히 20~30대 비중이 56%로 절반을 넘어, ‘디지털 친화 세대’ 역시 안전하지 않다는 점을 방증합니다.
🤝 전문가들은 “국제 공조→피해자 회복→사전 교육이 삼각 축”이라고 강조합니다. 캄보디아·필리핀 등 동남아 정부도 전산망 공유·공동 순찰을 이어가며 스캠 조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법무부는 “피해자의 법률 지원을 위해 ‘로맨스 스캠 전담 변호인단’을 운영, 집단소송·추심 절차를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결국 해답은 ‘정보력’입니다. 사기범은 늘 시대의 빈틈을 노리지만, 스캠의 본질은 ‘쉽고 빠른 돈’이라는 욕망을 자극하는 공통분모에 있습니다. 의심하고, 확인하고, 공유하는 습관이 우리를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라이브이슈KR는 앞으로도 스캠 트렌드와 대응책을 심층 추적하며 독자 여러분의 안전지대를 넓혀 나가겠습니다. 🙏
1자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2025 디지털 사기 유형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