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정안전부(행안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 화재 발생 직후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상향했습니다.
26일 오후 8시 15분께 전산실 배터리에서 시작된 이번 화재는 70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에 즉각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 대표적으로 모바일신분증·정부24·국민신문고 등이 접속 장애를 겪어 시민들의 불편이 컸습니다.
행안부는 즉시 위기상황대응본부를 가동하고, 윤호중 장관 주재로 긴급 상황판단회의를 열어 복구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업무연속성계획(BCP)을 최우선으로 가동하겠다.” – 행안부 발표 중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번 행안부 화재 사고의 직접 원인은 UPS(무정전전원장치) 배터리1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소방당국은 소방차 36대·인력 110명을 투입해 1시간 40여 분 만에 큰 불길을 잡았습니다.
그러나 서버 랙 내부 고열로 인해 데이터 장비 일부가 손상되면서 ▲트래픽 분산 서버 ▲DB 복제 시스템 등 핵심 장치가 동시에 멈췄습니다.
사진=중앙일보 캡처
행안부는 오후 11시경 1단계 복구를 완료해 12개 1등급 핵심 시스템 중 7개를 우선 복구했습니다.
이어 새벽 3시에는 백업센터(김천)로 회선을 우회해 2단계 복구율 80%를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 다만 전자관보·국가법령정보센터처럼 대용량 검색이 필요한 서비스는 ▲인덱스 재구성 ▲캐싱 최적화 작업이 끝나야 정상화가 가능합니다.
사진=MBC 뉴스 캡처
전문가들은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멀티리전·클라우드 이중화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는 “온프레미스 방식만으로는 대규모 장애를 피하기 어렵다”며, 공공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를 주문했습니다.
💡 또한 AI 기반 예방 진단 시스템으로 배터리 열화와 스파크를 사전 감지하는 기술 도입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행안부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노후 UPS 교체 ▲센터별 전기안전 진단 주기 단축 ▲재난 모의훈련 강화 등을 발표했습니다.
아울러 이달 말까지 ‘전 국민 피해 신고 창구’를 개설해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행정처리 지연을 소명 자료로 인정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 예컨대 취업지원서 제출 기한이나 차량등록 갱신 등 법정기한이 초과된 경우도 행정상 불이익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복구율은 95% 수준이지만, 완전 정상화까지는 서버 교체·데이터 정합성 검증 등 최소 일주일이 걸릴 전망입니다.
“정보화 시대의 ‘디지털 안전망’은 곧 국민의 생명줄입니다. 신속 복구를 넘어 근본적 체질 개선에 나서겠다.” – 행안부 관계자
시민들은 행안부 홈페이지 내 ‘서비스 복구 현황판’을 통해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화재 조사 결과를 종합한 공식 백서를 11월 중 공개해, ▲손상 장비 목록 ▲로그 분석 결과 ▲예방 책임 소재 등을 투명하게 밝힐 예정입니다.
🚨 행안부 화재 사태는 단순 사고를 넘어 디지털 주권의 중요성을 일깨운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부와 시민이 협력해 데이터 안전문화를 강화해야 비로소 안정적 전자정부가 완성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