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글 | 라이브이슈KR 박진우 기자


현대위아모바일 물류로봇방위산업 화력체계, 그리고 전기차 핵심 부품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최근 경기도 의왕연구소에서 열린 ‘물류로봇 신제품 런칭 행사’에서 회사는 가반하중 300㎏부터 1.5t까지 커버하는 4종의 플랫폼을 공개했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AMR(Autonomous Mobile Robot)에 컨베이어·리프트·로봇암 등 Top-Module을 자유롭게 장착해 맞춤형 물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확산 속도에 맞춰 물류로봇 시장점유율 1위를 노리겠습니다.” – 현대위아 로봇사업부

물류로봇은 자동 맵핑·군집주행·충돌회피 알고리즘을 기본 탑재하며, 5G·Wi-Fi 6 기반 FOTA(Firmware Over The Air) 기능까지 지원합니다. 이는 스마트 물류를 구현하려는 전 산업계 수요에 즉각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같은 시기 현대위아 주가도 꾸준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네이버 금융에 따르면 3일 오후 기준 전일 대비 4% 이상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다시 썼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로봇·방산 신규 매출 가시화”를 주요 모멘텀으로 꼽습니다.

폴란드 MSPO 전시회 현대위아 부스

▲ 사진 제공: 지디넷코리아 ⓒ

🌍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도 기회가 열리고 있습니다. 현대위아는 2~5일(현지시간) 폴란드 키엘체에서 개최된 ‘MSPO 2025’에 첫 단독 부스를 열고 105㎜ 자주곡사포무인포탑 화력체계를 공개했습니다. 유럽 36개국 700여 개 업체가 참가한 전시회에서 모빌리티 기반 화력 플랫폼은 현지 군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회사 측은 “폴란드를 포함한 동유럽은 노후 장비 교체 수요가 많아 수주 파이프라인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폴란드 국방부는 2030년까지 연 3% 이상 방위예산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현대위아 물류로봇

▲ 사진 제공: 한국해운신문 ⓒ

한편, 친환경차 전환에 맞춘 전기차 구동 부품 수주도 호조입니다. 현대위아는 세계 4대 완성차 그룹을 포함해 10여 개 OEM에 PE 모터 하우징·열관리 모듈 등을 공급합니다. 2024년 상반기 전동화 부품 매출은 전년 대비 42% 증가했습니다.

👩‍💼👨‍💼 인재 확보도 공격적입니다. 9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전문 기능인력 신입 계약직 채용’은 신입 초봉 6,500만 원과 성과급 400%+격려금 1,250만 원(잠정)이라는 파격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현대·기아차 할인가, 기숙사·통근버스 등 복지도 눈길을 끕니다.

노사관계도 비교적 안정적입니다. 2025년 임단협은 기본급 9만 원 인상, 성과급 400%+격려금 1,250만 원으로 잠정 합의돼 파업 리스크를 최소화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현대위아가 자동차부품·기계·방산을 삼각축으로 두고, 로봇과 전동화 부품을 신규 성장동력에 얹어 멀티 코어 구조를 완성했다”면서 “2026년 매출 12조 원 달성도 현실적인 목표”라고 분석합니다.

증권가 키워드 : 물류로봇 상용화, 유럽 방산 수주, 전동화 매출 급증, 임단협 잠정안, ESG 경영 강도 강화

💡 투자 포인트
1) 로봇 라인업 출시로 인한 高마진 신규 매출 확보
2) 폴란드·사우디·호주 등 방산 수출 다각화
3) 완성차 전기차 전환 가속 → 구동부품 증설 효과
4) 안정적 노사문화로 공급망 리스크 최소화

📅 향후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9월 26일 – 3분기 가이던스 공개 예정
• 10월 13일 – 경남 창원 ‘글로벌 R&D 센터’ 착공식
• 11월 5일 – 중국 상하이 ‘로봇엑스포’ 참가

마지막으로 증권업계 관계자는 “현대위아가 로봇·방산·전동화를 동시에 키우는 드문 종목”이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지디넷코리아, 한국해운신문, 현대위아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