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브이슈KR 단독 해설|최근 법정에서 불거진 ‘홍장원 지렁이’ 표현의 맥락과 의미를 둘러싼 핵심 쟁점이 정리되고 있습니다.
‘홍장원 지렁이’는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작성했다는 자필 초고 메모의 가독성을 두고 제기된 ‘지렁이 글씨’ 논평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이번 공방의 배경에는 비상계엄 정국에서의 지시 여부를 둘러싼 진위 논란과, 그 정황을 기록했다는 ‘홍장원 메모’의 증거능력과 신빙성 다툼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홍 전 1차장은 앞선 심리에서 특정 시점의 지시 정황을 재차 진술했으며, 이번 재판에서도 같은 취지의 증언을 유지했다고 보도되고 있습니다2025.11.13입니다.
쟁점의 초점은 메모의 작성 경위와 형식적·실질적 진정성립에 있습니다.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이른바 ‘홍장원 메모’는 1차 자필 초고, 2차 보좌관 정서본, 3차 보완본 등 세 단계로 구분돼 설명되고 있습니다.
⚖️ 핵심 쟁점: “자필 초고가 ‘지렁이 글씨’처럼 식별이 어렵다는 지적이 타당한가, 그럼에도 정서·보완 과정을 거친 메모의 증거능력은 인정될 수 있는가”입니다.
피고측은 초고가 ‘지렁이 글씨’ 수준으로 본인도 알아보기 어렵다고 문제 삼으며, 정서 과정에서 내용 변형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특검 측은 메모의 작성 시점과 보완 과정, 관련 통신 기록 등을 보강 정황으로 제시하며, 증언의 일관성과 전체 맥락을 중시해야 한다는 취지로 맞서고 있습니다.

재판부는 감정적 공방을 제지하며 절차적 논점과 증거법에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는 보도가 이어졌습니다.
동시에 언론은 ‘홍장원 지렁이’라는 표현이 논쟁적 레토릭을 넘어, 실제로는 증거의 신빙성 공격 전략으로 쓰였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왜 글씨체가 중요하냐는 질문이 뒤따릅니다.
첫째, 초고의 가독성은 작성 시점의 동시성과 현장성을 추정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둘째, 정서본과 보완본의 일치 여부는 변조 가능성 논쟁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법정에서는 필적감정 가능성, 전문법칙과 진정성립 인정 요건, 보강증거의 범위가 순차적으로 검토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와 JTBC, 동아일보 등 다수 매체가 동일한 공방 구도를 보도하며, ‘홍장원 메모’의 증거채택 여부가 향후 심리의 분수령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홍장원 지렁이’라는 표현이 모욕적 뉘앙스를 띠지만, 법정 맥락에서는 증거 신빙성 공격을 위한 법정 수사학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MBC 보도에서는 변론기일이 추가로 지정됐다는 전언이 소개되며, 향후 일정에 따라 공방의 법리적 쟁점이 더욱 구체화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홍장원 지렁이’는 초고 메모의 판독성을 빌미로 한 신빙성 다툼의 상징어로 확산되었으며, 본질은 비상계엄 국면에서의 지시 진위와 증거능력 판단에 모아집니다.
재판은 진행 중이며, 모든 피고인은 유죄 확정 전까지 무죄 추정이 적용됩니다.
참고 링크와 출처 확인을 권합니다🔎입니다.
- MBC 뉴스데스크 보도: ‘싹 다 정리해’ 증언 재확인… ‘지렁이 글씨’ 공방 소개입니다.
- 채널A 현장영상: “‘홍장원 지렁이’ 검색하면…” 현장 발언 소개입니다.
- 중앙일보·조선일보·JTBC·동아일보: 메모 1·2·3차 구분과 재판부 반응 보도입니다.
키워드 가이드|홍장원 지렁이, 지렁이 글씨, 홍장원 메모, 비상계엄, 내란 재판, 증거능력, 진정성립입니다.
이미지 출처: MBCNEWS YouTube, 채널A News YouTube, 중앙일보, 조선일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