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무더운 여름날 제주 정전 소식이 전해지면서 도민과 관광객 모두 불편을 겪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정전 원인부터 복구 현황, 그리고 예방 대책까지 논리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제주 전력망
ⓒ Unsplash, 사진은 제주 송전선로를 연상시키는 이미지입니다.

최근 제주 전력망전력 수요 급증과 고온다습한 기후로 부담이 커졌습니다. 특히 냉방 부하가 집중되는 오후 2~5시 사이 전압이 불안정해지며 순식간에 대규모 제주 정전으로 이어졌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1차 원인은 154kV 변전소의 차단기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 한국전력 제주본부 관계자*2025.8.3 인터뷰

차단기가 트립되자 보호계전기가 작동했고, 연쇄적으로 3개 변전소의 송전선로가 차단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제주시·서귀포시 약 3만 가구가 동시 정전을 겪었습니다.

🔧복구 작업은 사고 발생 12분 만에 시작돼 1시간 20분 만에 100% 완료됐습니다. 그러나 IT 서비스 업체·병원·공항 등 주요 시설은 비상 발전기가 가동되기까지 최소 5분이 소요돼 일부 설비가 재가동 지연을 겪었습니다.


1. 제주 정전 주요 원인 TOP 3

  1. 노후 차단기·케이블 등 설비 노후화
  2. 기상이변 – 폭염·호우·낙뢰로 인한 보호장치 오작동
  3.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비중 확대에 따른 주파수 불안정

특히 2025년 기준 제주 전력 피크 부하의 46%가 재생에너지로, 일사량과 풍속 변화가 급격할 경우 주파수 변동폭이 커집니다.


2. 피해 현황과 경제적 손실

제주상공회의소는 이번 정전으로 관광·서비스업에서만 약 23억 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냉동·냉장을 필수로 하는 수산물 가공업체들은 제품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드라이아이스를 긴급 투입했습니다.

제주 오름과 전력선
ⓒ Unsplash, 제주 오름과 걸린 전력선


3. 제주 정전 시 행동 요령

  • ⚡️엘리베이터 탑승 자제: 정전 위험 예보 시 계단 이용 권장
  • 💾 데이터 백업: 공공·민간 서버실은 UPS 용량 재점검
  • 🥤 냉장·냉동고 개방 최소화: 내부 온도 상승 억제
  • 🔦 손전등·휴대용 배터리 상시 구비
  • ☎️ 123(한전), 119(소방), 112(경찰) 등 비상번호 숙지

4. 재발 방지를 위한 중·장기 대책

한국전력은 ①스마트그리드 확대, ②AI 기반 예지정비, ③해저 HVDC(초고압직류송전) 3단계 증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2030년까지 제주 전력계통 안정도를 30%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관광 2,000만 시대를 맞아 무(無)정전 섬 구축이 필수입니다.” –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또한 도는 ESS(에너지저장장치) 용량을 1GWh까지 확대하고, 마이크로그리드 시범 마을 5곳을 선정해 자체 발전·저장을 실증할 예정입니다.


5. 독자가 자주 묻는 질문(FAQ)

Q1. 왜 제주에서 정전이 자주 발생하나요?
A. 지리적 특성상 육지와 연결된 해저 송전선로가 한정돼 있고, 재생에너지 비율이 전국 최고라 전력 품질 관리가 까다롭습니다.

Q2. 자가 발전기는 어떻게 선택해야 합니까?
A. 가정용은 2~3kW, 음식점·카페는 5kW 이상이 권장됩니다. KC 인증 여부를 확인하고, 무부하 자동 시동 기능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정전이 길어지면 상수도와 통신도 끊기나요?
A. 대부분의 상수도 시설은 4시간 분량의 비상 전원을 보유하지만, 휴대전화 기지국은 2시간 내외입니다. 장기 정전에 대비해 보조 배터리를 준비해야 합니다.


6. 결론

제주 정전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 관광 산업지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설비 투자와 기술 혁신, 그리고 도민의 생활 속 안전수칙 준수가 병행될 때 비로소 ‘탄소 없는 섬, 무정전 제주’가 실현될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는 앞으로도 정전·재난 안전 이슈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