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출처: JTBC News YouTube 캡처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오후 전격적으로 사퇴했습니다. 인사청문보고서 재송부 시한을 하루 앞두고 나온 결정이라 정치권이 술렁입니다.
국회 관계자는 ““전례 없이 빠른 결단”이라고 평가했으며, 사퇴 배경으로는 잇따른 ‘보좌진 갑질’ 의혹과 교수 시절 5주 무단 결강 논란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① 지명부터 사퇴까지 8일…초고속 ‘논란→퇴장’ 타임라인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강선우 의원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습니다. 그러나 22일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에 이어 23일 사퇴가 확정되면서, 지명 후 불과 8일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② ‘2억·1억’ 예산 삭감 갑질 의혹
“예산 반영 안 하면 삭감하겠다”
라는 녹취가 보도되면서 강선우 의원실이 상임위 예산 심사 과정에서 ‘징벌적 삭감’을 시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이는 유튜브 채널 JTBC 뉴스다 영상으로 확산돼 파장이 커졌습니다.
해당 의혹을 폭로한 전 여성단체 관계자는 “공익 예산이 정치적 압박 도구가 됐다”고 비판했습니다.
③ ‘보좌진 돌려막기·폭언’ 논란의 전말
전·현직 보좌진 7명이 “강선우 의원은 상습적 폭언·초과근무 강요를 일삼았다”는 진술서를 공개했습니다. 특히 한 비서관은 월 100시간이 넘는 야근을 기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강 후보자 측은 “사실과 다르다”며 법적 대응을 시사했지만, 여론은 급속히 악화됐습니다.
④ 교수 시절 5주 무단 결강…책임성 도마 위
조선일보 단독 보도로, 강선우 후보자가 2016년 S대 특임교수 재직 당시 한 학기 중 5주 연속 강의를 결강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수강생들은 “피드백도 없이 과제만 부과했다”며 학사관리 부실을 지적했습니다.
야권은 이를 두고 “국민 수용성 과락”이라 비판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회의론이 번졌습니다.
⑤ 대통령실·여당이 떠안은 후폭풍
이재명 대통령이 전날까지도 “임명 강행” 의지를 보였기에, 돌연 사퇴는 청와대(대통령실)의 인사검증 실패로 귀결됐습니다. 여당 지도부 역시 “왜 철통방어했나”라는 책임론에 직면했습니다.
특히 인사혁신처장이 “TV·신문을 안 본다”며 논란 파악조차 못 했다고 답변해, 공직사회 전반의 위기 대응 능력에 회의가 제기됐습니다.
⑥ 사퇴 이후 여성가족부의 향방은?
국회 여성가족위원회는 강선우 사퇴와 동시에 ‘후임 카드’ 물색에 돌입했습니다. 정치권에선 비(非)의원 전문가 영입론과 현직 여성 의원 재지명설이 함께 거론됩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젠더 갈등을 고려해 ‘무(無)논란·전문성’이 검증 기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⑦ 여론과 SNS 반응 📱
포털 실검 1위를 기록한 강선우 키워드는 트위터·블루스카이에서도 시간당 평균 1만3천 건 언급됐습니다. “#강선우_사퇴_당연” 해시태그가 빠르게 번지며, 인사 절차 투명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반면 일부 지지층은 “언론의 가혹한 프레임”이라 반박했지만, 여론조사 기관 리서치K의 긴급 조사 결과, 국민 73.4%가 “사퇴가 적절”하다고 응답했습니다.
⑧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대통령실 인사 시스템 재정비 여부입니다. 둘째, 여가부 존폐 논쟁이 다시 부상할 가능성입니다. 셋째, 강선우 의원의 정치적 생명력 회복이 가능한지 주목됩니다.
정치평론가 이재환 씨는 “사퇴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라며 “‘공직 후보 검증법’ 개정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정리하며
강선우 사태는 인사 검증·의원 갑질·젠더 정책이라는 세 가지 뜨거운 감자를 한꺼번에 드러냈습니다. 국민적 불신을 해소하려면 투명하고 일관된 검증 프로세스가 필수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후속 인선 과정과 국회 논의를 지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