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 구금 사태로부터 한국인 근로자 316명 전원을 안전하게 귀국시켰습니다.


인천국제공항 게이트가 열리자 강훈식 실장은 근로자들과 가족을 향해 두 손을 모아 환영했고, “더 빨리 모시지 못해 송구하다”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귀국 현장
출처: 조선일보

그는 특히 임신 26주 차 근로자 1명을 퍼스트클래스 좌석으로 이동시키며 “국민의 안전과 존엄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강훈식 실장은 귀국자 건강 상태를 꼼꼼히 확인했고, 현장에 의료진을 즉시 배치했습니다.” — 현장 의료관계자

비자 문제도 핵심 의제로 떠올랐습니다. 그는 “B1 비자 해석 차이가 양국 간 갈등 원인이었다”며 한·미 공동 워킹그룹을 즉시 가동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송환이 아니라 글로벌 인력 이동 정책 전반을 재정비하는 전환점으로 평가됩니다.

공동 브리핑
출처: 서울신문

정치권은 “강훈식 리더십이 위기 대응의 속도·디테일을 모두 잡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여야를 막론하고 협치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새 전자취업비자 도입 가능성을 거론하며, “숙련 인력이 현지에서 합법적으로 체류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가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편, 강훈식 실장은 이날 갯벌 구조 중 순직한 故 이재석 경사 빈소도 찾아 “국민의 생명은 국가가 반드시 지킨다”는 메시지를 재확인했습니다.

빈소 조문
출처: KBS 뉴스

이번 귀국 작전에는 외교부·국토부·행안부가 합동으로 가동한 24시간 상황실이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정부는 귀국 근로자들을 위해 의료·심리 상담, 재취업 매칭, 체류 지원 등을 담은 ‘원스톱 케어 패키지’를 발표했습니다.

특히 강훈식 실장은 “근로자 가족의 생활 안정을 위한 특별 생활지원비까지 검토 중”이라며 보다 섬세한 후속 대책을 예고했습니다.

관계부처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제 건설현장 안전지침비자 발급 프로세스를 동시 개편해 2026년 상반기까지 새 제도를 시행할 방침입니다.

🎯 강훈식 실장은 “오늘의 위기가 새로운 시작이 될 것”이라며, “국민이 어디에 있든 국가가 끝까지 보호한다”는 원칙을 재차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