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향신문은 1946년 10월 창간 이후 77년 동안 한국 언론사의 굵직한 변곡점마다 중심에 서 있었습니다.
언론 통제 시대에도 진보 개혁 성향을 지키며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전달해 온 이 신문은 ‘사원이 주인인 신문’이라는 독특한 지배구조로도 유명합니다.
핵심 키워드│경향신문의 역사
1950년대 전쟁기 보도, 1980년대 해직 사태, 1997년 IMF 외환위기 분석 보도 등은 지금도 언론학 교과서에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경향신문은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독립언론을 지향합니다.” – 창간 취지문 중
이 같은 정신은 2020년대 디지털 환경에서도 그대로 이어집니다.
디지털 전환과 플랫폼 전략
모바일 트래픽이 70%를 넘어선 현 시점에서 경향신문은 ‘K-Press AI CMS’를 도입해 초맞춤형 콘텐츠 추천을 구현했습니다.
또한 *네이버·카카오 제휴를 넘어 자체 Khan App 3.0을 출시하며 구독 경제 실험을 가속화했습니다.
▲ 경향신문 CI │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CC BY-SA)
다채로운 브랜드 확장
① 스포츠경향은 KBO, EPL, e스포츠를 빠르게 전달하며 Z세대 유입을 확대했습니다.
② 레이디경향은 라이프스타일·여성 이슈를 집중 다루며 MZ여성 독자를 잡고 있습니다.
③ 주간경향은 심층 탐사보도로 ‘읽는 주말지’ 트렌드를 주도합니다.
④ 2023년 론칭한 Khan English는 영문 사이트를 통해 한반도 이슈를 글로벌 독자에게 전파하고 있습니다.
최근 화제가 된 이유
최근 내란 특검의 압수수색 단독 보도, 통일교 청탁 의혹 심층취재, 그리고 트럼프 숙청 발언 해설 기사 등이 소셜미디어 상위권을 휩쓸며 검색량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데이터 저널리즘팀이 공개한 ‘건진 네트워크 맵’은 포털 실시간 랭크를 하루 종일 장악했습니다.
독자 참여형 서비스
‘독립후원 클럽’은 월 5,000원부터 후원 가능한 구독 모델로, 2024년 8월 기준 회원 12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구독자 전용 AI 요약 뉴스레터, 기자와 대화하는 오픈 채팅도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 서울 정동 사옥 전경 │ 출처: 경향신문
미디어 환경 속 도전과 과제
① 광고 매출 감소 속에서도 심층 취재 인력을 유지해야 하는 재정적 압박이 존재합니다.
② 알고리즘 뉴스 소비 확산에 따라 편집권을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 직접 유입 전략이 관건입니다.
③ ‘언론 신뢰도 1위’를 지키기 위해 팩트체크센터를 24시간 체제로 확대 운영했습니다.
미래 비전
경향신문은 2025년까지 메타버스 가상 편집국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자동 기사 작성이 아닌, AI+기자 협업 모델을 통해 ‘사람이 질문하고 기계가 보조하는’ 방식의 윤리적 저널리즘을 추구합니다.
“우리는 ‘왜’라는 질문에 끝까지 답할 때까지 멈추지 않습니다.” – 박래권 편집국장
실용 정보
- 디지털 구독 요금: 월 9,900원(첫 달 100원 프로모션)
- AI 뉴스 요약 메일: 매주 월·수·금 오전 7시 발송
- 기자 페이지 URL: https://www.khan.co.kr/reporter_article.html?ID=*
- 독립후원 문의: fund@khan.co.kr
이처럼 경향신문은 전통·탐사·디지털·글로벌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독자가 눈여겨볼 만한 변화는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