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중국계 미국 변호사이자 보수 논객 고든 창의 거침없는 발언이 한미 외교 현안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25일(현지 시간) 트위터(X)·더힐 기고를 통해 공개된 그의 ‘Remove Lee!’ 메시지는 순식간에 워싱턴과 서울 정치권의 핫이슈로 부상했습니다.


고든 창 트윗 갈무리
▲ 출처: 동아일보 캡처

고든 창은 저서 ‘China Collapse’로 유명세를 얻은 중국·북한 전문가입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MAGA’ 진영 대표 논객으로 활동하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보조를 맞추고 있습니다.


그의 최신 칼럼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극렬 반미주의자”로 규정한 대목이 파장을 키웠습니다.

“한미동맹의 근간을 무너뜨리는 인물, 지금이 제거할(take out) 최적의 시간”

이라는 표현은 격한 직설 화법으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더힐 기고문 논란
▲ 출처: 여성경제신문

이에 대해 주미한국대사관은 즉각 성명을 내고 “근거 없는 음모론이 양국 국민의 신뢰를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대사관이 특정 인사를 실명 비판한 것은 매우 이례적입니다.


📌 전문가들은 ① 미국 대선 국면, ② 한미 정상회담 D-1, ③ 보수·진보 진영의 극단적 대립 세 가지 변수를 복합 요인으로 꼽습니다.

한국 정치권도 술렁였습니다. 여당 일각에서는 “표현의 자유도 동맹 존중이 전제”라며 자제를 촉구했고, 야당은 “대통령실이 외교적 갈등을 키웠다”고 맞섰습니다.

워싱턴 시위 현장
▲ 출처: X(@yuyutraveler)


💬 워싱턴 현지 싱크탱크 관계자는 “고든 창의 메시지는 트럼프 지지층 결집용 ‘도발 카드’로 읽힌다”면서도 “공개적 ‘제거’ 언급은 동맹국 지도자에 대한 외교적 결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실제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는 기자단에 “미국 정부 공식 입장과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 의제로 인권·관세·방위비 분담 등이 논의되는 만큼 간접 영향은 피하기 어렵습니다.


경제계도 촉각을 곤두세웠습니다. 일부 보수 성향 미디어는 “한국에서 사업 못 해”라는 극단적 조치를 거론했으나,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실제 제재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나 트위터·틱톡 등 SNS에서는 ‘#고든창Out’·‘#ProtectAlliance’ 해시태그가 속속 등장하며 여론전을 확대하는 모습입니다.

🚨 정치·외교 전문가들은 “확증 편향의 알고리즘이 한미 동맹 논의를 왜곡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결국 이번 사태의 향방은 ① 이재명–트럼프 정상회담 결과, ② 미 대선 경선 구도, ③ 국내 여론 삼각변수에 달렸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양국 간 이견이 있더라도 공공외교 채널로 해결할 것”이라며 의연한 대응을 강조했습니다.


정리하면, 고든 창 파문은 개인 논객의 발언에서 출발했지만 한미동맹·국내 정치·글로벌 미디어가 얽힌 복합 이슈로 확장됐습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동맹의 견고함을 확인하는 계기”라는 반론도 나옵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미국 의회·청문회 일정, 백악관 논평, 청와대 대응 브리핑을 지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신속히 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