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고용노동부는 2025년 하반기에도 노동시장 구조 개편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목표로 활발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최근 포털 실시간 검색어 1위를 기록한 이유근로시간 제도 개편 세부안 공개, 출산급여 확대중대재해 예방 종합대책 발표가 동시에 예고됐기 때문입니다.

고용노동부 산재예방 유공 포상식 현장사진=연합뉴스

첫째, 주 52시간제 보완를 골자로 한 유연근로시간제 확대가 핵심입니다. 고용노동부는 선택근로 정산기간을 최대 6개월로 연장해 업종별·계절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둘째, 특수고용직·프리랜서·1인 사업자도 받을 수 있는 출산급여 150만 원 제도가 예산 128억 원 증액과 함께 2025년 1월 시행 예정입니다.

셋째, 7월부터 가동된 중대재해 사이렌 플랫폼은 사고 발생 24시간 내 통계·분석 결과를 제공합니다.

“사고를 숨길 수 없는 환경을 만들겠다” –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중대재해 사이렌 메인화면이미지=고용노동부

근로시간 개편 세부 내용
• 선택근로, 탄력근로, 재량근로 모두 정산기간 상향 조정
• 주 60시간 초과 시 건강보호조치 의무화
• 기업규모별 유예기간 최대 2년 부여

사회안전망 확대
•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예술인·배달 라이더 의무가입
• 출산급여 150만 원,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급여 5일 추가

넷째, 청년도약 프로젝트K-디지털 트레이닝 무료 교육생 2만 명을 모집합니다. AI·데이터·반도체 분야에 특화됐으며, 수료 후 민간 채용 연계율 73%를 목표로 합니다.

다섯째, 외국인력(E-9) 쿼터를 12만 명으로 확대해 농축산·제조·조선 인력난을 완화합니다. ※ 2024년 대비 1.5만 명↑


실제 현장의 변화도 감지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산재 예방 유공 고용노동부 장관 표창을 수상하며, 민간기업의 ESG+안전 경영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공식 SNS이미지=고용노동부 페이스북

고용노동부 1350 고객센터는 모바일 채팅·AI 챗봇을 도입해 야간·주말 상담 응답률을 46%→92%로 끌어올렸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책 이용 가이드입니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보도자료·신청서 다운로드
② 고용보험·출산급여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
③ 중대재해 사이렌 알림은 노동현장 점검 담당자라면 누구나 무료 구독


🔎 고용노동부의 근로시간 개편, 출산급여 확대, 중대재해 예방 대책은 노동시장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합니다. 관련 기업·근로자는 변경 일정과 요건을 사전에 숙지해 불이익을 방지하시기 바랍니다.

📌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고용노동부 정책 변화를 신속하게 분석·보도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