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정책이 다시 한 번 대전환기를 맞이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발표에서 공급 확대와 규제 완화를 핵심 축으로 한 새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을 공개했습니다.
첫째, 정부는 오는 2026년까지 수도권에만 50만 호, 전국적으로 총 120만 호의 신규 물량을 순차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를 단계별로 늘려 실수요자의 부담을 낮출 계획입니다.
📊 둘째,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해제 범위를 확대한 것이 눈에 띕니다. 올해 안으로 서울 4개구를 제외한 대부분이 규제 완화 대상에 포함되며, 토지거래허가구역도 일부 단계적으로 해제될 전망입니다.
이미지 출처: Unsplash
세 번째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상한은 70%*로 상향됐습니다. * 9억 원 이하 1주택 실수요자 기준 이에 따라 대출 규제 완화가 본격화되며, 지방은행에서도 동일한 조건이 적용됩니다.
“부동산 정책은 더 이상 수요 억제 중심이 아니며, 공급 확대와 디지털 행정이 핵심이 될 것입니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
📝 넷째, 온라인 발급·신고 시스템이 10월 10일부로 24시간 재가동되었습니다. 토지대장·지적도 등 18개 부동산 서류를 모바일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어, 거래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다섯째, 양도세 중과 유예는 2027년까지 연장됩니다. 2주택 이상 보유자가 규제지역 내 주택을 처분하면 최대 20%p 세율 인하 혜택을 받습니다.
여섯째,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든든전세주택’ 지원 한도는 3억 원에서 4억 원으로 늘어나며,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안전진단 보증도 포함됐습니다.
📈 수도권 GTX-A·B·C 노선과 3기 신도시 교통망 확충 일정도 동시에 발표돼, 입지 프리미엄이 예상되는 지역에 문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반면, 임대차3법은 부분 개편 수준에 그쳤습니다. 전월세상한제는 유지되지만,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시 임대인이 추가 세제 인센티브를 받도록 설계돼 시장 왜곡 현상을 최소화했다고 정부는 설명합니다.
투자자라면 규제 해제 예정지를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특히 경기 남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가 해제될 경우, 똘똘한 한 채 수요가 교외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큽니다.
실수요자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의 청약 전략이 중요합니다. 경쟁률이 치열할 때는 무주택 가점을 확보하고, 특공제도 완화를 활용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 금리 인상 기조가 연말까지 이어지더라도, 부동산 정책이 공급 확대로 무게중심을 옮기면서 가격 급락보다는 완만한 조정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2025년 상반기까지 정책 성과를 모니터링한 뒤 ‘2단계 로드맵’을 발표하기로 예고했습니다. 따라서 매수·매도 계획을 세울 때는 정책 일정과 지역별 공급 타이밍을 꼼꼼히 살피는 것이 필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