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무원연금공단(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이하 공단)이 제주혁신도시 시대 10주년을 맞았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1982년 설립되어 공무원연금제도를 총괄 운영해온 국내 최초의 공적연금 기관입니다. 2014년 제주특별자치도로 본사를 이전한 뒤 지역 상생·ESG 경영·디지털 전환을 꾸준히 확대했습니다.
ⓒ 베이비뉴스
최근 실시간 검색어에 공무원연금공단이 오른 이유는 세 가지입니다.
① 제주 이전 10주년 기념 성과 발표
② 세종·대전·대구지부의 상록봉사단 사회공헌 활동
③ 2025년 경력·신입 채용 공고
첫째, 제주 혁신도시 이전 10주년입니다. 공단은 지역인재 채용의무비율(27%)을 크게 초과 달성하며 국토교통부 ‘지역발전 우수사례’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제주대·제주한라대 등 도내 대학과 산학협력을 확대해 600여 명 이상의 지역 인재를 채용했습니다.
둘째, 사회공헌·ESG 경영입니다. 세종·대전지부는 홀몸 어르신 50가구에 보양식 키트를 전달했고, 대구지부는 병뚜껑 재활용 캠페인으로 ‘플라스틱 제로’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이는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상록봉사단이 주축이 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
셋째, 채용·일자리 트렌드입니다. 인디드·워크넷 등 구인 플랫폼에 ‘공무원연금공단 2025년 경력직’ 공고가 올라오면서 취업 준비생들의 관심이 급증했습니다. 연금·ICT·ESG 전문인력 00명을 선발하며, 지역·전문계약직 등 다양한 형태를 도입했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 주요 업무
- 연금 급여·대부·공단복지시설 운영
- 퇴직공무원 재취업·사회적경제 매칭 지원
- 정보시스템(통합연금포털) 고도화 및 AI 상담 챗봇
- 신탁형 연금펀드·공적연금 공동투자
특히 디지털 전환 측면에서 블록체인 기반 ‘연금 지급 이력 관리’ 시스템을 도입, 수급권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강화했습니다.
🔎 연관 키워드: 공무원연금, 퇴직연금, 연금 대부, 상록봉사단, 제주 혁신도시, 공공기관 채용, ESG 경영, 사회적경제, 지역인재 채용, 통합연금포털
공단 관계자는 “제주 이전 10주년을 계기로 ‘더 따뜻한 연금, 더 넓은 상생’이라는 비전을 선언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한라일보
다음 단계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본사 태양광 발전 설비 증설, 전기차 충전소 확대, 퇴직공무원 기후봉사단 신설 등이 추진 중입니다.
공무원연금공단 채용 팁
- 직무기술서에서 연금제도·ESG·디지털 키워드 체크
- 자소서에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및 혁신도시법 트렌드 반영
- 면접 시 최근 사회공헌 사례(상록봉사단 등) 활용
특히 올해부터 지역인재 30% 이상 선발 원칙을 적용해 제주·세종·대전 출신 지원자에게 우대 가점을 부여합니다.
📈 연금 수급자 현황: 2024년 말 기준 수급자는 59만 4,000명, 기금 적립금은 16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공단은 2028년까지 18조 원까지 확대해 안정적 지급 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기금운용본부는 미국 S&P500 ESG ETF, 국내 스마트팜 REITs 등 친환경·사회적 가치 투자 비중을 20%까지 늘렸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연금을 넘어 국민 모두의 지속가능한 내일을 설계합니다.” – 김동극 이사장
공단의 10년 간 행보는 정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연금 서비스 혁신과 지역사회 연대를 양립해온 전략이 향후 다른 공적연금기관에도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공무원연금공단은 ‘연금의 가치를 넘어, 사람과 지역을 잇는 플랫폼’으로 진화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