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은 한국 사회에서 식품 안전·통상 이슈가 교차하는 상징적 키워드입니다.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는 최대 100만 명이 광화문 광장을 밝히며 미국산 쇠고기 수입 안전성을 요구했던 역사적 사건이었습니다.
이후 정부는 만 30개월령 이상 소와 특정위험물질(SRM) 제거 의무 등 검역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 2025년 7월, 광우병 키워드가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한미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협상단이 2008년 시위 사진을 미국 측에 제시하며 “농축산물은 레드라인”임을 강조했다는 후일담이 공개됐기 때문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사진 한 장이 한국 민감도를 직관적으로 전달해 협상 분위기를 바꿨다”고 설명했습니다.
💡 그렇다면 광우병은 과학적으로 얼마나 위험하며, 현재 수입 위생 조건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1️⃣ 국제수역사무국(OIE)은 미국을 광우병 위험 통제국1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2️⃣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특정위험물질(뇌·눈·척수 등) 제거∙검사 의무를 지속 점검하며, 위반 시 즉시 반송·폐기 조치를 시행합니다.
3️⃣ 30개월령 미만 소고기만 수입 가능하며, 이력추적·HACCP·정밀 PCR 검사가 병행됩니다.
🔍 소비자 인식은 여전히 민감합니다. 한국소비자연맹 조사 결과, “광우병 위험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는 응답이 42%였습니다.
유통 업계는 “미국·호주산에 대해 잔류물 검사 성적서를 실시간 공개
“식품 안전과 통상은 양립할 수 있습니다. 과학 기반 규제와 투명한 정보 제공이 관건입니다.” — 박세훈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 한편 미국 농무부는 2024년 기준 미국산 쇠고기 對韓 수출이 27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협상에서 한국은 30개월령 제한과 검역 기준을 지켜내며 “광우병 레드라인 고수”라는 외신 평가를 받았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축산업과 소비자를 지키면서도 통상 마찰을 최소화한 절충안”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요약하면, 광우병 키워드는 식품 안전·외교·경제 세 갈래를 잇는 변하지 않는 이슈입니다.
미국산 쇠고기를 구매할 때는 원산지 표시·이력번호 확인, 충분한 가열(70℃ 이상) 등 기본 수칙을 따르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광우병 관련 정책·시장·과학 데이터를 면밀히 추적해 독자 여러분의 안전한 한 끼를 돕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