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촌치킨이 1991년 대구 동성로 작은 매장에서 첫 불을 지핀 후, 국내 치킨 시장 판도를 바꾼 지 30여 년이 지났습니다.
창업자는 ‘정직경영’이라는 교촌철학을 내세우며 간장치킨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열었습니다.
당시 후라이드·양념의 양강 구도에 간장소스를 입힌 교촌치킨 오리지날은 담백하면서도 짭조름한 풍미로 폭발적 반응을 얻었습니다🍗.
이후 허니콤보·레드콤보 등 메뉴 다각화 전략이 이어지며, 교촌치킨은 ‘소스 혁신’과 ‘부위별 차별화’라는 두 축을 완성했습니다.
“한 마리 전체를 조리해도 가장 맛있는 부위만 남긴다”※교촌F&B 메뉴개발팀
소비자는 배달 앱 한 번 터치로 바삭한 허니콤보를 즐길 수 있게 됐고, 배달 특화 포장은 치킨 식감 유지의 표준이 되었습니다.
특히 에어홀 박스는 김 빠짐과 눅눅함 방지를 동시에 해결해 업계 벤치마킹 1순위가 됐습니다.
사진 출처: Unsplash
가맹 비즈니스 측면에서 교촌치킨은 직접 물류망과 자체 프랜차이즈 아카데미를 통해 표준화된 맛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가맹점 평균 매출은 2024년 기준 월 6,700만 원 선으로, 동종업계 평균치를 크게 상회합니다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자료.
본사와 점주는 수익률 62:38 공유 제도로 투명 경영을 실천해 ‘을(乙) 프랜차이즈’ 논란에서 비교적 자유로웠습니다.
사진 출처: Wikimedia Commons
2020년 코스닥 상장 후 교촌F&B는 식품·외식주로서 드문 해외 수출형 모델로 주목받았습니다.
말레이시아·태국 등 동남아 50여 개 매장은 K-푸드 열풍과 맞물려 현지화 메뉴(칠리라임·카피라임)를 출시, 매출이 전년 대비 47% 성장했습니다.
최근 교촌치킨은 ‘ESG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친환경 식물성 치킨 프로젝트, 사용유 회수 재활용 사업, 그리고 농가 상생 프로그램 ‘교촌 드림팜’이 대표 사례입니다🌱.
마케팅도 변화를 거듭합니다.
배우 변우석을 모델로 한 ‘허니피크닉 캠페인’은 SNS 해시태그 20만 건을 돌파하며 MZ세대에게 브랜드 친밀도를 높였습니다.

사진 출처: 교촌치킨 공식 X 계정
투자 관점에서도 교촌치킨은 안정적 B2C 캐시카우와 글로벌 확장성을 동시에 지닌 ‘저변형 성장주’로 평가받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해외 매장 200호점 돌파 시점(2026년 예상)을 실적 레벨업의 분기점으로 봅니다.
한편 치킨 가격은 물가 민감 품목으로 소비자 관심이 높습니다.
교촌치킨은 원가 압박이 거센 상황에서도 ‘0.5마리 메뉴’와 점심 타임 할인 등 가격 방어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이익을 나누는 것이 곧 브랜드 지속성이다.”권원강 교촌F&B 회장
업계 관계자는 간편식(HMR)·냉동 간장치킨 출시를 통해 오프라인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진단합니다.
결국 교촌치킨의 성공 방정식은 기술·맛·경영 투명성 세 가지 축이 어우러진 결과였습니다.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를 넘어 글로벌 미식 아이콘으로 성장한 교촌치킨의 다음 행보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