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 주요 포인트
1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의 정책 구상과 도덕성 검증이 집중적으로 다뤄졌습니다.
1. 경력·프로필1) 구 후보자는 기재부 30여 년 경력의 ‘예산통’으로, 국무조정실장·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2. AI 국가전략 🤖 구 후보자는 “전 국민 AI 교육으로 신성장 동력을 마련하겠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초·중·고교 필수 AI 커리큘럼과 산업 맞춤형 리스킬링 프로그램을 약속했습니다.
3. 지방소멸 대응 🌱 “인구 감소 지역에 AI 기반 산업·교육 클러스터를 우선 배치하겠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
4. 법인세·세수 감소 📉 구 후보자는 “최근 2년 새 법인세수 40%↓”라며
“과세 기반을 넓히되, 성장 저해 없는 스마트 증세가 필요합니다”
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5. 재정건전성 💰 올해 국가채무는 GDP 대비 54.2% 예상입니다. 구 후보자는 2027년까지 50%대 초반 관리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6. 건전재정 3원칙 ① 지출 구조조정 ② 성과 기반 예산 ③ 국민 체감 혁신을 선언했습니다.
7. 겹치기 보수 의혹 🧐 야당은 2022~2024년 ‘2억6천만 원 다중 보수’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구 후보자는 “법적 절차를 준수했고 연구·강의 대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8. 물가·민생 📊 그는 “하반기 물가상승률 2%대 진정을 목표로, 농축산물 비축 확대와 전기·가스요금 탄력 조정을 병행하겠습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9. SOC·그린·디지털 투자 🌐 구 후보자는 디지털 SOC, 탄소중립 R&D에 5년간 50조 원을 투입해 ‘투자와 긴축’ 균형을 잡겠다고 강조했습니다.
10. 국제 공조 🌏 그는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AI 윤리·세제 논의를 주도해 ‘코리아 이니셔티브’를 만들겠습니다”라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11. 야당 평가 🗣️ 야당은 “AI·재정 모두 구체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지만, 여당은 “실무형 경제 리더”라고 방어했습니다.
12. 시장·산업 반응 📈 재계는 “AI 인력 양성·법인세 안정화는 긍정적”이라면서도, 증세 가능성에는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13. 향후 절차 국회는 청문보고서 채택 후 대통령에게 임명 여부를 보고할 예정입니다.
14. 시민에게 미칠 영향 👨👩👧👦 AI 교육 확대와 재정 효율화가 성공한다면, 일자리·복지 개선이 기대됩니다.
15. 전망 🔮 구 후보자가 제시한 ‘성과 중심 국가경영’이 실제 정책으로 구현될지 주목됩니다.
※기사=라이브이슈KR |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