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 국정감사 현장에서 박완수 경남지사가 공천 개입 의혹을 둘러싸고 여야 의원, 증인과 거친 공방을 벌였습니다.
28일 행정안전위원회 국감에는 ‘정치 브로커’로 지목된 명태균 씨가 증인석에 나서 “윤석열‧김건희 부부가 공천을 지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박완수 지사는 “어떤 도움도 받은 적 없다”며 전면 부인했습니다. 🤔

이미지=JTBC 뉴스 유튜브 캡처
공천 논란은 2021년 8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자택에서 시작됐습니다. 명 씨는 “윤 전 대통령 자택에서 박 지사가 반려견을 안고 기념사진을 찍었다”고 폭로하며 사진까지 공개했습니다.
“윤 대통령이 ‘경남은 박완수에게 맡기라’고 말했다.” ― 명태균 증언
이에 박완수 지사는 “대선 경선 지원 요청 차원”이라며 “당시 캠프에도 합류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습니다.
국감은 곧 정치자금・입법로비 의혹으로 확전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기업인 연결 대가로 1억 원이 오갔다는 진술이 있다”고 추궁했습니다.
국민의힘은 즉각 “근거 없는 정치 공세”라며 자료 제출 미비를 문제 삼았습니다. 🔎
정가에서는 해당 논란이 총선 공천 시스템 전반으로 불씨가 번질 가능성에 주목합니다. ‘윤심 공천’ 논쟁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특히 경남 지역 민심이 흔들릴 경우, 집권여당의 ‘부–울–경 벨트’ 전략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이미지=MBC 뉴스 유튜브 캡처
반면 야권은 김건희 여사 연루 정황을 부각하며 ‘제2의 도이치모터스’ 프레임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박 지사의 강경 대응이 오히려 정치적 리스크를 키운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공천 과정 투명화와 당무감사 강화가 해법”이라고 입을 모읍니다. 공천 검증 절차를 명문화해야 ‘브로커 개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편 경남도 주요 현안인 진해신항·우주항공산업 질의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정책 감사는 사라지고 의혹 공방만 남았다”고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접수된 특혜‧청탁 의혹 관련 제보를 분석 중”이라며 4분기 내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정치권의 시선은 이제 수사기관으로 이동했습니다. 검찰이 금품 제공 정황을 포착할 경우, 사건은 거액 로비 의혹으로 비화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① 명태균 “윤 부부가 지시” vs 박완수 “사실무근”
② 총선 앞두고 ‘윤심 공천’ 재점화
③ 공천 투명화·제도 개선 요구 급증
향후 증거 자료 공개와 수사 결과에 따라 박완수 지사의 정치적 입지는 물론 여야 공천 구도까지 요동칠 전망입니다. 🧐
라이브이슈KR은 후속 취재를 통해 지역 민심과 당내 대응을 지속적으로 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