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국립국어원, 우리말 정책의 첨병이 되다

📚 국립국어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언어 전문 기관으로서, 올바른 국어 규범 확립언어 문화 진흥을 담당합니다.

1984년 창립 이후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가나다’ 등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국민과 끊임없이 소통해 왔습니다.


1. 표준국어대사전 – 🔍 언제 어디서나 믿을 만한 어휘 검색

표준국어대사전은 51만여 표제어를 수록한 국내 최대 규모의 디지털 사전입니다.

최근 인용·갈음하다·샘플링 같은 시사용어가 추가돼, 시대 변화에 즉각 대응하고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누리집 화면출처: 국립국어원


2. 온라인가나다 – ✍️ 24시간 실시간 문법 Q&A

온라인가나다’ 게시판은 하루 평균 500건 이상의 질문이 등록되는 맞춤법·띄어쓰기 상담 창구입니다.

최근 ‘-어야 하다 vs -어야 되다’와 ‘밖에’의 의미 혼동 사례가 화제가 되며 높은 조회 수를 기록했습니다.


3. 너랑이 캐릭터로 풀어낸 쉬운 우리말

국립국어원 공식 X(구 트위터) 계정(@urimal365)은 귀여운 캐릭터 ‘너랑이’를 앞세워 #말다리미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샘플링 → 표본 추출, 표본(화)으로 바꿔 써 보세요!” – 국립국어원 SNS

너랑이 말다리미 카드뉴스출처: 국립국어원 X 계정


4. AI·빅데이터 사업 – 🗣️ 음성 자원 공개

국립국어원은 2024년부터 국어 빅데이터 2.5억 어절을 민간에 개방하여 AI 음성 합성 품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TTS 학습용 ‘표준 발음 DB’는 스타트업·대학 연구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CC BY 4.0 라이선스로 제공됩니다.


5. 외래어·신조어 어문 규범 업데이트

매월 개최되는 ‘말 다듬기 위원회’에서는 로컬푸드·펫티켓 같은 혼용어를 순화한 우리말 대안을 발표합니다.

발표 직후 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샘’에 동시 반영돼 현장 적용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6. 한글날 578돌 기념 행사 – 🎉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

오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세종문화회관에서는 ‘우리말 미래포럼’과 ‘어린이 글짓기 대회’가 예정돼 있습니다.

온라인 사전 퀴즈, 전자책 특가 이벤트도 동시에 열려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습니다.


7. 우리말샘·모바일 앱 – 📱 손안의 언어비서

모바일 앱 ‘우리말샘’은 오프라인 사전 저장 기능을 제공해 여행지에서도 데이터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최근 업데이트로 다크 모드·음성 검색이 지원되며 접근성이 대폭 향상됐습니다.


8. 오픈 API – 개발자를 위한 활용 가이드

개발자는 stdict API를 통해 표제어·발음·용례 데이터를 JSON 형태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절차는 간단하며, 학술·비영리 프로젝트는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일부 상업적 이용 시 별도 협의 필요


9. 교육·연수 프로그램 – 교사의 언어 역량 강화

매년 1천여 명의 교사가 ‘국어 규범 직무연수’에 참여해 최신 어문 지식을 현장에 전파합니다.

온라인 강좌는 녹화본이 제공돼 시간·지역 제약 없이 수강할 수 있습니다.


10. 출판·연구 총서 – 학계 협력 플랫폼

국어원 총서는 외국 인명·지명 한글 표기 연구 등 100여 종의 PDF를 무료로 배포해 학문적 자산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에는 ‘젠더 중립어 연구’ 보고서가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11. 지역 사회 협력 – K-콘텐츠 세계화 지원

방송·게임·웹툰 제작사를 대상으로 자문 서비스를 운영해, 자막 오탈자·비속어 사용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K-콘텐츠의 해외 번역 오류도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12. 이용 꿀팁 –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

  • 맞춤법 검사기 Beta’(PC 전용)로 긴 글도 한 번에 교정
  • 사전 하단 ‘발음 듣기’ 버튼으로 정확한 억양 확인
  • ‘단어장’ 기능을 통해 헷갈리는 단어를 즐겨찾기

13. 독자가 자주 묻는 질문(FAQ)

Q. ‘은(는)커녕’은 한 단어인가요? → 국립국어원‘-는커녕’을 하나의 조사로 분류하며, 조사 앞에는 붙여 씁니다.

Q. ‘기어올라오다’ 띄어쓰기는? → 의미를 강조할 때 ‘기어올라^오다’처럼 하이픈(^) 기호로 구분해 표기할 수 있습니다.


14. 전문가 한마디

국립국어원은 규범을 정하는 기관을 넘어, 한국어를 세계적 문화 자산으로 성장시키는 플랫폼입니다.” – 김민수 학예연구관


15. 맺음말 – 우리말의 미래를 함께

🟢 국립국어원디지털 전환글로벌 시대에 발맞춰, 국민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우리말을 배우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국어 생활이 곧 문화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만큼, 다양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