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국방일보 편집 논란이 불거지면서 국방부 기관지의 정체성과 책임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방일보는 1961년 창간 이후 장병·예비역·군 가족에게 군사·안보 소식을 전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안규백 국방부 장관 (25일 취임)의 취임사 중 ‘12·3 비상계엄·내란 척결’ 대목이 삭제된 채 보도돼 편집 의도 논란이 커졌습니다 ⚠️.

국민이 신뢰하는 첨단강군”이라는 제목 아래 핵심 문구가 사라졌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국방일보 1면
▲ 논란이 된 7월 28일자 국방일보 1면 (사진=노컷뉴스)


🔍 대통령실 반응도 즉각적이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29일 국무회의에서 “국방일보 기강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국방홍보원은 “군 특수 매체 특성을 고려한 편집”이라 해명했지만, 언론계는 공적 매체의 편집 독립공공 책임을 동시에 충족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통령실 브리핑
▲ 대통령실 브리핑 화면 (사진=MBC)


📈 이번 사안은 국방부-국방홍보원 간 지휘·감독 체계도 수면 위로 끌어올렸습니다.

전문가들은 “정책 홍보언론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

편집권 논란이 반복되면 장병 정보 접근권국민 알권리가 동시에 훼손될 수 있습니다.

오마이뉴스 기사 캡처
▲ 관련 보도를 다룬 온라인 기사 (사진=오마이뉴스)


💡 향후 과제로는 ① 투명한 편집 프로세스, ② 독립 편집위원회, ③ 디지털 아카이브 공개 등이 제시됩니다.

특히 AI·빅데이터 기반 분석으로 장병 열독 패턴을 파악하고, 민·관·군 협력으로 팩트체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방일보신뢰받는 군 공보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군 조직의 특수성언론의 보편적 가치를 균형 있게 조화시켜야 한다는 점이 분명해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