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 안전 경보입니다. 25일 저녁 서울 4호선 길음역 9번 출구 인근에서 발생한 칼부림 사건으로 시민 3명이 중상을 입었습니다.
사건 개요는 오후 7시 35분께 ‘흉기난동’ 신고가 112·119에 동시에 접수되며 알려졌습니다. (출처: 연합뉴스·조선일보)
현장에 출동한 성북소방서 구조대는 불과 5분 만에 피해자들을 발견했고, 경찰은 70대 피의자를 테이저건으로 제압했습니다.
“칼부림은 순식간에 벌어졌고 비명 소리에 모두가 대피했습니다.” – 목격자 A씨 증언
피해자 3명은 복부 자상으로 인근 대학병원으로 이송됐으며,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이미지 출처: YTN 뉴스화면 캡처
경찰 관계자는 “길음역 칼부림 가해자는 범행 동기를 명확히 진술하지 않고 있다”며 우발적 범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
사건 현장은 바둑 기원 2층으로, 출입 통제가 미흡했던 점이 지적됐습니다. 해당 건물은 별도의 보안 인력이 없었습니다.
🔍 유사 사건 추적 : 최근 5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칼부림 사건은 42건으로, 그중 67%가 주거·상가 밀집 지역에서 일어났습니다.(서울경찰청 통계)
정부는 흉기난동 방지 종합대책으로 △CCTV 사각지대 해소 △위험물 소지 단속 강화 △심리 상담 지원을 추진 중입니다.
▲ 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범죄심리학자 김OO 교수는 “고립·분노·경제적 스트레스가 흉기범죄의 3대 촉발 요인”이라며 조기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시민 안전 수칙
① 주변에서 칼부림 징후 발견 시 즉시 112 신고
② 시야 확보 후 가해자와 45° 각도로 거리 두기
③ 지하철역 내 비상벨·안전문 이용
또한 상가·기관은 출입 명부·금속 탐지기 도입 등 ‘선제적 억제’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길음역 칼부림 피의자에게는 특수상해죄가 적용될 전망이며, 법원 판례상 최대 징역 15년형까지 가능하다는 것이 법조계 중론입니다.
🗣️ 사건을 계기로 시민들은 “안전 체감도를 끌어올릴 실질적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지하철역·상가 밀집 지역의 순찰 인력을 30% 증원하기로 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칼부림’ 키워드가 주는 경각심을 잊지 않고, 실효성 있는 예방책이 뿌리내릴 때까지 후속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