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김영선 전 의원의 2022년 보궐선거 공천 개입 의혹이 다시 한 번 뜨거운 쟁점으로 부상했습니다. 민중기 특검팀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서 직접 전화를 받았다”는 진술을 확보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


특검은 김영선 공천 논란을 ‘김건희 국정농단’ 수사의 한 갈래로 규정하고, 공천 개입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자료: 특검 브리핑)

핵심 진술의 주인공 윤상현 의원은 27일 소환 조사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영선 좀 해줘라’고 말했다”는 통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지난 2년간 “그런 통화는 없었다”던 그의 기존 입장을 뒤집는 내용이어서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통화 시점은 2022년 5월 9일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보궐선거 후보를 최종 확정하기 단 하루 전이었습니다. 당시 윤 의원은 공관위원장이었고, 김 전 의원은 ‘영선(0선)’ 타이틀을 떼고 재등판을 노리던 상황이었습니다.

김영선이 해주라 했는데 당에서 말이 많네. 내가 상현이한테 한 번 더 얘기할게.” — 2022.5.9 윤석열‧명태균 통화 녹취 中

녹취 속 대화가 처음 공개됐을 때 윤 의원은 “가짜”라고 일축했지만, 특검 조사에서는 “장제원 당시 당선인 비서실장으로부터도 같은 부탁을 받았고, 내용을 한기호 사무총장에게 전달했다”고 진술했습니다.


그렇다면 김영선은 누구일까요? 2004년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입문해 17‧18대 국회에서 활동했으며, 2015년 싱가포르 대사를 지낸 보수진영 정통 인사입니다. 2022년 보궐선거 당시 경선을 통과하지 못했지만 ‘전략 공천’ 변수를 기대했다는 후문이 돌았습니다.

JTBC 보도 화면▲ 출처: JTBC News 유튜브 캡처

법조계는 대통령직 인수기 시기에 이뤄진 ‘사적 청탁’ 정황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공직선거법 47조(당내경선의 자유 보장)정치자금법 45조(부정청탁 금지) 위반 가능성을 거론합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정상적인 당무 보고 차원의 통화”라며 선을 긋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 관계자 출신 인사들까지 특검 소환 대상에 오르며 수사 범위가 광범위해지는 양상입니다.

야당은 즉각 국정조사를 요구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대선 직후부터 이어진 ‘사천(私薦) 숙청’의 민낯”이라고 비판했고, 정의당은 “김영선 의혹을 대통령 중립 의무 논의로 확장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당내 분위기도 심상치 않습니다. 공천 파동의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 재선 의원들은 “대선 주자급의 낙점설이 횡행하면 2026년 총선 준비가 사실상 무력화된다”는 우려를 표했습니다.

반대로 친윤 핵심 인사들은 “김영선 전 의원은 여성‧외교 전문가로 경쟁력이 충분했다”는 논리를 들며 방어막을 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윤상현 의원의 진술 번복으로 명분이 약해졌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정치평론가 배성규 교수는 “특검 수사가 전화 한 통 이상의 스모킹건을 확보할 경우, 당 지도부 재편과 연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까지 번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특검팀은 향후 통화 녹취 원본통신기록을 분석해 구체적인 ‘지시 라인’을 규명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필요 시 윤 전 대통령 참고인 조사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정리하면, 김영선 공천 의혹은 단순한 개인 청탁을 넘어 대통령실·당 지도부·특검을 모두 긴장시키는 중대 변수로 떠올랐습니다. 수사 결과에 따라 보수진영의 공천 시스템 신뢰윤석열 전 대통령의 정치적 레거시가 시험대에 오를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특검 수사 진행 상황, 국회 대응, 김영선 전 의원 본인 입장 등을 지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