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다시 한 번 정치·사회 이슈의 중심에 섰습니다. 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독립기념관 바로 세우기’ 기자회견이 고성·몸싸움 속에 20여 분 만에 파행으로 끝나면서, 사퇴 논란이 더욱 거세졌습니다.


광복은 연합국이 준 선물에 가깝다” – 김형석 관장의 지난 8월 발언*이 촉발점이었습니다.

국회 기자회견 현장
사진=경향신문 캡처

이 발언은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가 “역사 인식 부재”라며 즉각 퇴진을 요구하게 만든 결정적 계기가 됐습니다.


임명 과정부터 논란이었습니다. 김형석 관장은 2024년 8월 보훈처 추천으로 취임했지만, “민족자존보다 국제정세가 중요하다”는 과거 칼럼이 재조명되며 정치 편향 시비가 제기됐습니다.

유튜브 캡처
사진=MBC NEWS 유튜브 화면

기념관 사유화 의혹도 불을 지폈습니다.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관장 직속 연구모임·강연회에 가족과 지인을 대거 초청해 예산을 집행했다는 제보가 국가보훈부 감사로 이어졌습니다. 보훈부는 ‘엄중 경고’ 조치를 내렸으나 파면 요구는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❸ 8일 국회 기자회견은 사실상 ‘여론 돌파 카드’였습니다. 김 관장은 “기념관 점거 농성은 천안 지역 야권 정치세력과 극소수 광복회원의 합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 후손여야 의원이 동시에 몰려들며 현장은 아수라장으로 변했습니다.

KBS 뉴스 화면
사진=KBS NEWS 캡처

❹ 격앙된 시민단체는 “매국노!” “즉각 사퇴!”를 외쳤고, 김 관장은 경위의 호위를 받으며 퇴장했습니다. 이 장면은 유튜브·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퍼져 조회 수 100만 회누적를 넘겼습니다.


정치권 반응도 양 갈래입니다. 여당 일각은 “정치적 공세가 과하다”는 입장이지만, 야당·정의당은 특별감사·국회 차원의 해임 건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❻ 법적 쟁점도 불거졌습니다. 관장이 기자회견에서 “허위사실 유포에 대해 법적 대응”을 예고했으나, 보훈처법·국가공무원법상 공공기관장이 제기한 소송은 ‘공적 업무 논란’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❼ 독립기념관 노조는 ‘직장 내 갑질’·‘인사 전횡’을 추가로 폭로했습니다. 이들은 오는 12일 보훈부 청사 앞에서 ‘문화재 지정 기관 정상화 촉구’ 집회를 열 계획입니다.

한겨레 기사 사진
사진=한겨레신문 캡처

❽ 전문가들은 “독립기념관역사 교육·기억 문화의 상징적 공간”이라며, 기관장이 역사의 주체성을 폄하하는 발언을 할 경우 브랜드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❾ 시민사회는 이미 온라인 서명 18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포털 댓글·커뮤니티에서도 ‘#김형석_사퇴’ 해시태그가 확산하며 여론 압박이 거세지는 양상입니다.

❿ 관장 해임 절차는 국가보훈부 장관 제청→대통령 면직 재가 순으로 진행됩니다. 아직 장관이 “추가 조사 후 판단”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정치 일정·총선 국면과 맞물려 장기화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독립기념관(충남 천안)은 1987년 개관 후 연간 300만 명이 찾는 국가보훈·문화 복합시설입니다. 본관·겨레누리관·광복관 등 7개 전시관에서 일제강점기 자료 9만여 점을 소장·연구하고 있습니다. 관장 임기는 3년이며, 정무직이 아닌 전문경영형 임기제여서 대통령 임면권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9월 말까지 예정된 보훈부 특별감사 결과가 사실상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감사 결과가 ‘중대 위법’으로 결론 날 경우, 직위 해제·형사 고발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시민단체 ‘독립유공자유족회’는 “김형석 관장 사퇴와 동시에 역사학·보훈 전문성을 갖춘 인사 공개 추천”을 정부에 요구했습니다.

ⓛ 반면 관장 측은 “사유화·횡령 주장은 허위”라며 회계 자료 전면 공개를 약속했습니다. 이르면 13일 기자회견을 다시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전문가 한마디

역사 기억 기관의 리더십은 정치적 중립성보다 역사적 책임성이 우선입니다. 이번 사태는 기관 운영 투명성, 임명 절차, 내부 견제 시스템 전반을 재검토할 계기가 돼야 합니다.” – 박모 역사학자

마지막으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은 “물러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회·보훈부·시민사회 삼각 압박이 지속되는 한, 사퇴 정국은 쉽게 잦아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