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한 직후, 사퇴 압박이 한층 거세졌습니다.
첫 문장부터 기자회견장은 고성이 뒤섞였고, 항의 시위와 몸싸움까지 발생해 현장은 극도의 긴장감이 감돌았습니다.
ⓒ JTBC News 캡처
김 관장은 광복절 경축사 논란에 대해 “‘광복’을 세계사적 관점에서 해석한 것일 뿐 독립운동의 가치를 폄훼한 의도는 없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과 시민단체들은 이미 “역사 인식 부적격”이라며 사퇴 촉구 서명을 진행 중이어서 갈등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당신이 무슨 독립기념관장이냐! 당장 물러나라!”— 국회 소통관 앞 집회 참가자
기자회견 도중 일부 의원은 마이크를 끄려 시도했고, 김 관장 측 보좌진과 격렬한 실랑이가 벌어졌습니다.
ⓒ 오마이TV 캡처
또한 민족문제연구소·천안민주단체연대회의는 전날 독립기념관 광장에서 열었던 집회를 통해 “친일 전력 의혹까지 제기되는 인물이 독립 정신을 대표할 수 없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 관장은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며, 독립기념관 사유화 의혹도 “‘운영 효율화’ 차원의 내부 검토일 뿐”이라고 반박했습니다.
ⓒ 채널A News 캡처
정치권은 이미 인사청문회 수준의 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도 감사 착수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여당 내부에서도 “불필요한 정쟁 장기화는 정부 부담”이라며 자진 사퇴론이 조심스레 흘러나오고 있어, 향후 국정감사 전후가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광복절 기념사 자체의 역사적 타당성 논란뿐 아니라, 기관장 리더십 부재가 문제의 본질”이라며, 독립기념관 운영 전반에 대한 종합 진단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합니다.
한편 김 관장은 이날 회견을 끝으로 당분간 외부 일정을 자제하겠다고 밝혔지만, 야권·시민단체는 “투명한 해명 없는 잠행은 또 다른 책임 회피”라며 전국 단위 집회를 예고했습니다.
사퇴 여부, 법적 공방, 정부 감사가 동시다발로 진행되는 가운데, 독립기념관의 정체성과 공공성이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시험대에 올랐습니다.